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부분
다수
과반수
일반
보편적
대개
전반적
d라이브러리
"
대다수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뒤를 이었고 소득이 증가했을 때와 사회적으로 유명해졌을 때는 5%에도 미치지 못했다.
대다수
의 이공계 종사자들이 경제적 소득이나 사회적 평가보다는 연구와 후진 양성에 큰 비중을 뒀다.흥미와 호기심이 전공 결정이공계 전공을 선택한 이유로는 흥미와 호기심(48.3%)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응답자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만든 편안함세로본능은 없을까? 건축물은 얼마나 높은지가 최대 관심거리고, 책은
대다수
가 세로로 길쭉하며, 요즘에는 가로화면의 대명사였던 액정화면(LCD)마저 세로로 세워놓고 쓰는 ‘피봇’기능이 유행이다. 지 교수는 “황금비가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1:1.61 ... ...
신문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확충했다. 이 회사 역시 지난해 쓰나미가 동남아시아를 강타했을 때 신문에 쓴 사진의
대다수
가 동남아 현지에서 관광객들이 휴대전화로 찍어 보낸 것이었다. VG 논설주간 토리 페더슨은 “예전엔 대형 참사 취재를 위해 헬기와 취재장비를 확보하는 게 관건이었지만 이젠 카메라폰을 가진 독자를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못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백악기에 살았던 아르켈톤은 몸길이가 3.6m에 이르렀지만
대다수
새끼 거북들은 육식공룡의 먹잇감이었다.국내에서는 경남 하동과 전남 보성 등지에서 거북의 배갑파편과 껍데기파편 화석이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특히 최근 보성에서는 완벽한 형태의 거북화석이 발견돼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보이는 것일까. 연세대 인지과학연구소 신수진 박사는 ‘광각’효과 때문이라고 말한다.
대다수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전화카메라는 화각이 넓은 ‘광각’ 렌즈가 들어있다. 화각이 넓다는 것은 한번에 담을 수 있는 화면폭이 넓다는 뜻. 광학적으로 화각이 넓으면 화면 안에 보이는 대상의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일부 환자의 약물 복용 거부도 약물 치료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정신분열병을 앓는
대다수
환자들은 자신의 병을 인정하지 않고 인정하더라도 약효를 부정한다. 치료 시기는 그만큼 늦어지게 된다.이 때문에 약물치료를 보완하는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가상현실을 정신병 치료에 이용하는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확정된 것만 8만개가 넘는다. 소행성들 중 가장 밝은 것은 밝기가 6등급 정도나 되지만
대다수
는 18등급 가량으로 상당히 어둡다. 8만개나 되다보니 그 숫자로 미뤄 짐작해 보면, 우리가 바라보는 천구상의 황도 주변 어느 하늘에서나 소행성이 무리를 지어 떠돌아다니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더라도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MIT)와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중국의 칭화대 등 7~8여개에 그친다.남 교수는 “
대다수
디자인학과가 조형 교육에 치우치고 있는 반면 이들 대학은 첨단 과학기술을 디자인에 전폭적으로 접목시키는 남다른 시도를 하고 있다”고 말한다. KAIST 산업디자인과가 그만큼 세계 톱10에 들어갈 확률이 어느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방사성동위원소가 쓰이는 활용범위는 꽤 넓다. 연구로는 핵기술 국산화에도 기여했다.
대다수
연구단 관계자들은 “지난해 국산화에 성공한 연구로용 핵연료도 하나로가 없었다면 빛을 볼 수 없었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수천도 이상의 고온 고에너지 환경에서 견뎌야하는 핵연료는 수많은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하더라도 역전 과정이 마무리되기까지 최소 2000년은 걸릴 것이라는 견해가 아직
대다수
이기 때문이다. 김인수 교수는 “지자기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점들이 너무 많다”며 “몇몇 전문가들은 지자기 역전을 걱정하는 것 자체가 너무 앞선 견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고 밝혔다.지구 X선 찍을 스웜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