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사"(으)로 총 5,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80년 만에 흑자전환, 핵융합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켜졌다. 이번 성과를 살펴보고 핵융합 상용화까지 남은 단계를 정리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80년 만에 흑자전환, 핵융합Part1. 2mm 캡슐이 만든 커다란 도약↳[인포그래픽] 순에너지 생산에 성공한 국립점화시설(NIF)↳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 Part2. 2050년 탄소 중립, 핵융합이 ...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핵융합 에너지를 쓸 수 있는 미래가 코앞에 다가온 것은 아니란 뜻이었다. 다음 기사에서는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로 가는 길에 우리가 넘어야 하는 단계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본다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답했다. 그런데 목소리가 묘하게 낯익었다. 어디서 들어 봤는데, 하는 생각이 든 순간 기사가 고개를 휙 돌렸다.광대를 다 뒤덮는 커다란 점.과거의 기억이 뒤통수를 후려쳤다.“창신주식회사! 아저씨 채티 개발자 맞죠?”남자가 눈을 가늘게 뜨고 나를 바라보았다.“날 아니?”“팔구 년 전에 회사 ... ...
- 한눈에 보는 STEAM 교과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
- [특집] 네옴시티가 그리는 미래도시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규모와 모습 때문입니다. 상상초월 스마트 시티 네옴은 정말 가능할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네옴시티가 그리는 미래도시의 모습은?Part1. [특집] 500m 초고층빌딩 170km 이어서 지을 수 있을까?Part2.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Part3.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 ...
- [기획] 굽고 튀기면 맛있다고? 요리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왔지요. 군침 흘리게 않게 조심하세요. 맛있는 요리의 과학 시작합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굽고 튀기면 맛있다고? 요리의 과학Part1. [기획] 78만 년 전의 발견 구워라! 그러면 맛있어 지리니Part2. [기획] 바삭바삭 튀겨라! 튀김의 과학Part3. [기획]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요리사 ... ...
- [에디터노트] 처럼 되기를…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수학자는 물론 수학을 도구로 활용하는 여러 직업인의 이야기를 깊게 전하고자 합니다. 기사를 읽으며 ‘이 사람 멋진데!’, ‘나도 이렇게 되고 싶은데’, ‘이 사람처럼 사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 ‘어떤 목표를 세워야 하지?’ 같은 생각을 하길 바라며 1월호를 만들었습니다. 부디 ...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과학 한 판!’, ‘이과개그’ 코너를요. 이밖에도 독자들이 주신 의견으로 준비하는 기사들이 있습니다. 준비가 되는 대로 공개할 계획입니다. 의견 주신 독자들께 감사드립니다 ...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야기한 것은 아니었지만, 읽는 이에 따라서는 그렇게 읽을 수도 있는, 다소 모호한 기사였다. 하지만 우장춘 박사의 명성 때문이었는지 많은 사람들은 씨 없는 수박이 우장춘 박사의 발명품이라고 믿게 되었다. 우장춘 박사 사후에 여기저기서 출판된 위인전에서 검증도 하지 않은 채 이 이야기를 ... ...
- [특집] 수학계가 시끌! 이탕 장이 리만 가설을 풀었다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가리지 않고 난상토론 중이다. 도대체 왜 이렇게 시끌벅적한 걸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수학계가 시끌! 이탕 장이 리만 가설을 풀었다고?Part1. [특집]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Part2. [특집] 편견을 넘는 수학자Part3. [특집] 내가 기억하는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