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발
기폭
기각
기장
기표
힘
기운
d라이브러리
"
기
"(으)로 총 1,903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
기
에너지와 발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어느 날 갑자
기
전
기
가 사라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물론 이런 일이 일어나면 안 되겠지만, 실제로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전
기
덕분에 가능했던 모든 편리 ... 필요가 있다. 또한 전
기
에너지는 감전과 화재 등 위험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전하게 쓰
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무겁고, 가장 강력하다. NASA는 올해 10월 1일 창립 60주년을 맞았다. KSC에서는 이를
기
념하
기
위해 영화 ‘퍼스트맨’ 시사 가 열렸다. KSC의 품격은 역사에서 나온다. 미국 정부가 우주 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으며 내세우는 주된 가치는 ‘젊은 세대를 위한 영감(inspiration for young generati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탐사선을 발사하겠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10월 1일 짐 브라이덴스타인 NASA 국장은 60주년
기
념 영상 메시지에서 “60년간 NASA는 세계를 위해 과학과 우주 비행, 인간 탐사라는 임무를 수행했다”며 “NASA는 인간의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데 주저한 바 없으며, 미래를 향한 궤도를 닦는 일에서도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위성항법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위성항법시스템은 막대한 예산과 10년 이상의 개발
기
간이 소요되는 국가적인 사업이 될 전망이다. 계획대로라면 2027년 첫 위성 발사 이후 2034년까지 모든 위성의 발사가 마무리 된다. 서비스는 2035년부터 시작된다.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위성이 우리 삶에 ... ...
태평양해양과학
기
지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학생들이 직접 대형, 미세 플라스틱을 조사하게 했다. 학생들은 체를 들고 모래에서 크
기
가 1~5mm인 미세 플라스틱을 걸렀다. 깨끗해 보이는 해변에서도 미세 플라스틱 조각이 꽤 검출됐다. 송 연구원은 “적도 부근의 강한 자외선은 플라스틱의 화학적 풍화를 가속화 한다”며 “플라스틱이 잘게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측정하거나, 3D 프린터에 대한 측정 표준을 확립하는 등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측정
기
술을 개발하고 표준을 확립하는 데에도 꾸준히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재학생 인터뷰] 우리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모의평가 결과 서울대에 지원하
기
에는 한참 부족한 결과가 나왔지만 다른 사람들의 이야
기
에 휩쓸리지 않고 시험 전날까지 꾸준히 공부했다. 그 결과 어떤 모의평가보다 수능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최 씨는 “수능은 단 하루 동안 보는 시험이지만 중학교 때부터 꾸준히 공부한 ... ...
[Culture] 성형수술에 관한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위해 성형수술을 받았다. 막연히 새로운 사람이 되
기
위해서,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서 등과 같이 비현실적인 목표를 가지고 성형수술을 한 경우는 12%에 불과했다 ... ...
[과학뉴스] 고속도로 주변 오염물질의 90%는 타이어 탓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
레 교수는 “타이어나 브레이크 패드 마모로 발생한 입자는 크
기
가 커서 주로 도로 주변의 동식물에 영향을 준다”며 “도로 주변 수로를 통해 먼 지역까지 퍼질 수 있다”고 말했다.doi:10.4209/aaqr.2018.03.009 ... ...
[시사
기
획] 500유로 내고 가는 해외여행?! 과학자 유혹하는 가짜 학회실태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상욱 교수는 “지금은 권위 있는 국제 학회도 설립 초
기
에는 과학자 몇 명이 소박하게 시작한 경우가 많다”며 “작은 규모의 학회가 학술적으로는 수준이 높은 경우도 많은 만큼 분야가 명확하고 분야별 대표적인 과학자들이 많이 참여하는 학회가 진짜”라고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