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리스"(으)로 총 1,55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고소한 향기가 났다. 오븐에서 갓 꺼낸 고대 이집트 빵은 아주 친근한 모습이었다. 그리스의 피타와 모양이 비슷했다(하지만 피타의 색은 하얗다).빵을 잘라보니 안에 커다란 공간이 있었다. 스팀 없이 건조하게 구워지는 동안 반죽이 부풀어 올랐기 때문이다. 맛보기 위해 손으로 빵을 당겼는데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방법과 같다. 즉, 오늘날과 같은 빵이 이때 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그 후 기원전 1000년 경, 그리스에서 해상 문화가 발전하고 과실을 풍부하게 재배하면서 빵에도 여러 종류의 부재료가 더해지게 됐다. 빵을 주식으로만이 아닌, 기호 음식으로도 즐기게 된 것이다. 이때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유럽으로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뚫을 수 있었다. 리소그래피는 ‘리소스(Lothos, 돌)’와 ‘그라페인(Graphein, 쓰다)’이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인쇄술의 한 분야다. 나노리소그래피는 나노미터 단위의 인쇄술이라고 할 수 있다.나노리소그래피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이렇다. 원하는 패턴을 물질 위에 ... ...
- [과학뉴스] 꽃가루는 얼마나 날아갈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그리스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의대 공동연구팀은 자동차와 비행기를 이용해 그리스 테살로니키 지역의 해발 0m에서 2000m까지 다양한 고도에서 공기 샘플을 수집해 분석했다.그 결과, 꽃가루 24종과 곰팡이 포자 15종을 발견했다. 이 중 클라도스포륨속(Cladosporium )과 알터나리아속(Alternaria )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그리스 신화 속 이카로스는 아버지 다이달로스와 함께 크레타 섬에 갇혀 있었다. 탈출을 계획한 다이달로스는 날개를 만들고, 아들 이카로스에게 너무 높게 또는 너무 낮게 날지 말라고 단단히 주의를 줬다. 그러나 탈출하는 날 이카로스는 더 높게 날고 싶은 욕망에 태양에 다가갔고, 결국 뜨거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각각 완벽한 개체를 만들어낸 것이니까요. 이런 사실은 실험을 통해 입증됐습니다. 그리스 파트라의 불임전문병원 연구팀이 8세포기의 배아에서 세포 4개를 떼어 내 다른 배아에 넣어 관찰했더니, 세포를 잃은 기존의 배아와 분리돼 나온 네 개의 세포 모두 착상 전의 배아 상태까지 정상적으로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5~6세기경 찬란한 철학적 사고를 개발했던 그리스인들은 물질에 대해서도 철학적 이론을 제시했다. 불과 물, 흙, 공기가 서로 조합해서 물질을 만든다는 주장이다. 오늘날의 관점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다. 물질을 구성하는 것은 뭔가 물질보다 더 단순한 것이어야 할 텐데, 물과 불, 흙, 공기는 ... ...
- Part 4. 바이러스는 변신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돌연변이로 더 강력해진 독감독감은 240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의사인 히포크라테스가 언급했을 정도로 아주 오래된 질병이에요. 하지만 아직도 완벽히 막지 못해요. 왜냐하면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기 때문이랍니다. 독감 바이러스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HA와 NA의 모양이 바뀌어요. 돌기에 가지가 ... ...
- [DJ CHO의 롤링수톤] 외계인의 친구, 지기 스타더스트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화성에서 지구를 찾아온 이 록스타는 보위의 페르소나입니다. 원래 페르소나는 그리스 가면극에서 배우들이 썼던 ‘가면’을 나타내는 말로 가면을 쓴 인격을 뜻합니다. 영화에서는 자신의 분신이나 특정한 상징이 있는 사람을 지칭합니다.다시 음악으로 돌아옵시다. 지구의 멸망이 얼마 남지 않은 ... ...
- 영국의 중심에서 수학을 외치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센 흔적,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점토판, 고대 이집트의 측량이나 유클리드로 대변되는 그리스 수학이 떠오르기 마련이에요. 꼭 고대사가 아니더라도 중세시대와 아랍문명의 암흑기를 지나 꽃핀 르네상스 시대 유럽의 수학사가 생각나죠.#이승재 연구원은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수학으로 학사,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