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중"(으)로 총 1,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위성은 지구의 한 면만 계속해서 바라보지요. 따라서 지구에서 10만km 떨어져 있는 공중기지와 지구를 끈으로 연결하면 끊어지지 않고 계속 연결된 채로 있을 수 있어요. 이 원리를 이용해 지구 중력으로 내려왔다가, 전기 또는 자기의 힘으로 올라가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거예요.실제로 이 ... ...
- [과학뉴스] 미사일이 아니죠~ 발사체라고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추진로켓(광명성호)을 쏘아 올린 겁니다. 광명성호는 광명성 4호를 지구 밖으로 올린 뒤 공중에서 산산조각 났습니다. 미사일 기술과 로켓 기술에 공통점이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로켓 기술을 미사일로 연결시킬 수도 있겠죠. 미 육군의 데이비드 만 사령관도 워싱턴DC에서 열린 세미나에 참석해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보드 아래에 여러 개의 프로펠러를 달아 바람을 내보내면, 그 힘이 땅을 밀어내면서 공중에 떠오르지요.후보 2 오뚜기 킥보드! 세그웨이두 번째 후보는 오뚜기처럼 스스로 균형을 잡으며 달리는 ‘세그웨이’야. 발판에 한 발을 올리고 나머지 발로 땅을 구르며 타는 킥보드와 비슷하게 생겼지?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영하 89.2℃. 수 분만에 인간의 눈, 코, 심지어 폐까지 얼어붙게 한다. 이런 곳에서 물을 공중에 흩뿌리면 그 자리에서 얼음으로 바뀌고 만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영하 150℃에서 얼지 않은 물을 발견했다.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극저온 상태의 물이 20년 만에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이 발견의 주역,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연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금속을 연료로 이용한 건 이미 오래됐다”고 말했다. “공중에서 금속 분말을 태워 폭발시키는 불꽃놀이가 시초입니다. 그 열과 빛, 폭발력을 이제 자동차나 발전소에 써보자는 거죠.”써도 써도 닳지 않는 금속 연료금속을 연료로 이용할 수 있는 건, 반응열이 매우 ... ...
- [News & Issue] 그물 쳐 드론 잡는 ‘안티 드론’과학동아 l2016년 02호
- ․ 재료그물 쳐 드론 잡는 ‘안티 드론’공중에서 그물을 발사해 새를 잡듯 다른 드론을 포획할 수 있는 드론이 등장했다. 미국 미시간공대 모 라스트가 교수는 ‘로봇 매사냥(robotic falconry)’이라는 제목으로 1월 3일 유튜브에 새로운 드론을 공개했다. 영상을 보면 6개의 회전날개로 비행하는 드론이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춤이 등장하고 있다. 2014년에는 ‘대형 토네이도가 지나간 이후 숲과 토양의 변화’를 공중그네 춤으로 표현한 미국 조지아대 우마 나젠드라 연구원이 대상을 차지했고, 2013년에는 ‘형제 여부에 따른 정자의 성 결정’을 영국 옥스퍼드대 팀이 수중 발레로 표현했다. 2012년에는 ‘알루미늄 700 ... ...
- 진정한 몬스터가 되고 싶나요? 몬스터호텔2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같은 비막에 나 있는 미세한 털! 털로 공기의 흐름을 읽어내서 갑자기 방향을 돌리거나 공중에서 멈추는 게 가능한 거지. 그래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손자 데니스를 순식간에 구해 낼 수 있었단다.뛰어난 드라큘라가 되는 데 박쥐의 열감지 능력도 꼭 필요해. 이 능력 덕분에 동물의 몸에서 온도가 ... ...
- 수증기로 슝~! 꼬마 증기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이 기계는 당시 인류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인 시속 24km 이상으로 달릴 수 있었지. 바로 공중으로 뜨거운 연기를 뿜으며 철로 위를 달리는 증기기관차야.증기기관차에서 우리 몸으로 치자면 심장 역할을 하는 곳이 바로 증기기관이야. 증기기관은 뜨거운 ‘열에너지’를 움직이는 힘인 ‘동력’으로 ... ...
- [과학뉴스] 비행과 수영이 모두 가능한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날개가 작아야 물의 저항을 적게 받아 이동에 유리하지만, 공기 속에서는 날개가 커야 공중에 잘 뜰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 로버트 우드 교수팀이 이런 로봇을 실제로 개발해 발표했어요.로버트 우드 교수팀은 ‘코뿔바다오리’라는 새의 움직임에 주목했어요.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