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도"(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된다고 했는데….근데…, 이거 도대체 몇 층까지 올라가는 거지? 헉! 세상에 말도 안 돼! 고도 3만 6000km라고?! 으악! 이건 우주로 가는 엘리베이터잖아!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Part 2. 초고속 ... ...
- [쇼킹 사이언스] 하늘에 UFO가 떴다?! 렌즈구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글라이더는 엔진과 같은 동력이 없지만, 산악파의 상승 기류를 이용하면 더 높은 고도에서 먼 거리를 날아갈 수 있거든요. 현재 세계 최고 기록을 가진 글라이더는 산악파를 이용해 높이 1.5km, 거리 1308km를 날아갔답니다. 산악파가 만드는 구름산악파는 렌즈구름 외에도 여러 구름을 만들어낸다.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두 대의 위성은 1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낚싯줄과 같은 특수 케이블로 연결돼 있답니다. 고도 400km 부근에는 공기가 아주 희박해요. 이 공기의 저항에 케이블이 어떻게 흔들리는지, 어떻게 늘어뜨렸을 때 가장 안정적인지 분석하고 있답니다. Q. 이 실험은 우주 엘리베이터와 무슨 연관이 있나요?우주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해외로부터 비롯된 건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며, “드론을 이용해 낮은 고도와 높은 고도의 미세먼지를 동시에 포집하면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어요.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이자민 연구원은 지난 달 12일부터 약 2주 간 국내외 고등학생들과 함께 지상 20m와 76m 상공에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존재를 부정할 수는 없죠. 46억 년이라는 시간 동안, 우리는 아주 단순한 세포에서 시작해 고도의 지적활동이 가능한 유인원으로 진화했어요. 만일 다른 생태계에서도, 지하의 유황 동굴 같은 곳에서도 동일한 과정이 일어났다면요? 역시 부정할 수 없어요. 모르는 일이라고요.” TV에서는 익숙한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보이지만 실제로 플라스마를 활용한 공격용 무기가 있다. 1990년대 러시아는 50km고도에 있는 목표물을 파괴할 수 있는 플라스마 무기를 개발했다. 미국과 공동으로 플라스마를 이용해 태평양에서 날아오는 미사일을 격추하는 실험도 진행했다. 러시아는 올해 1월에도 플라스마 무기를 개발하고 ... ...
- [핫이슈] 내가 진짜 최강! 드론 레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해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자신만의 드론을 만들어요. 이 드론으로 장애물 통과, 저고도 비행, 회전 등 다양한 미션을 수행한답니다. 대회에 참여한 친구들은 인증서도 받을 수 있어요.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를 참조하세요. (문의 : 02-3148-0704 | star.dongascience.com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동력을 낸다. 이론적으로는 24시간 내내 무인기를 띄워놓을 수 있는 셈이다. 현재 기술로 고도 1km지점까지 레이저를 쏴 충전할 수 있다. 고출력 레이저 기술은 영화 속 슈퍼맨의 능력을 뛰어 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국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 기술은 빠르게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5일, 카시니는 한국시간으로 저녁 8시 55분경 토성의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생을 마감했다. 고도 1500km 지점에 도달하자 엄청난 열이 발생해 1분 만에 선체가 소진됐다. NASA 연구팀은 토성계에 존재할지 모르는 생명체를 보호하기 위해 카시니를 불태웠다. 카시니가 동력원으로 사용하던 플루토늄의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만든다”고 말했다. 잘 때 끼는 렌즈 효과 있나?현재까지 연구에 따르면 근시(특히 고도 근시)는 비가역적이고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어릴 때 근시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이 최선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밤에 끼고 있으면 낮 동안 근시 교정 효과를 내는 각막굴절용 교정렌즈, 일명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