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짜기
산골짜기
협곡
산간
산골
두메
골짜구니
d라이브러리
"
계곡
"(으)로 총 457건 검색되었습니다.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높이의 '산(?)'이나 '
계곡
(?)'만이 잠시 표면에 존재할 따름이다.그러나 이렇게 낮은 산,
계곡
이라도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현상을 동반한다. 중성자별은 강한 중력장 덕분에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곧바로 적용되는 지역이라는 것을 상기하자. 그러므로 중성자별 표면에 산이 있다면(비록 ... ...
물루동굴과 바코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밝은 물이 흘러나와 주변에서는 수영을 즐길 수 있다. 일종의 산속 깊은 곳에서 흐르는
계곡
물이 75km(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길다)나 되는 동굴속을 거쳐 강으로 나오는 셈. 동굴 입구에는 모노필라에아 글루카라 불리는 식물이 종유석을 뒤덮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식물의 특징은 잎이 ... ...
청계천 잡동사니 더미 속에서 찾은 '보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0여년 전 서울의 청계천에는 지금의 북한산
계곡
보다 더 맑은 물이 흐르고 있었다.4·19 당시 파리 남대학에서 연구에 골몰하던 필자는 학교(고려대)의 부름으로 2년 반만에 그곳에서의 연구를 중단하고 귀국해야만 했다. 당시 이곳의 연구 환경은 불모지와 다름없어서 누구로부터의 후원도, 조언도 ... ...
다테야마 立山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가장 유명한 협궤 철도를 타고 우나쓰키로부터 게야키다이라(櫸平)까지 약 20km의 V자
계곡
을 달리며 경관을 즐기게 한다. 도중 가네쓰리(鍾釣)에 내리면 눈앞에 펼쳐지는 만년설과 함께 노천 온천욕의 묘미를 맛볼 수 있다 ... ...
여러가지 아이스크림 만들기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달콤한 아이스크림은 서로 어떻게 다를까요?여름을 나의 것으로! 산과 바다로, 강과
계곡
으로 더위를 피하는 것도 좋겠죠. 하지만 그 전에 집에서 내힘으로 더위를 사로잡고 싶지 않으세요? 가족들이 둘러 앉아 오순도순 도우며 아이스크림을 직접 만들어 봅시다.아이스크림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그런 경향을 많이 볼 수 있다.잠자리는 성충이나 유충이나 일생동안 육식성이다. 산
계곡
에 사는 잠자리무리는 주로 하루살이나 각다귀과의 곤충을 먹고 살며, 연못이나 저수지에 사는 잠자리무리는 파리와 같은 곤충을 먹고 산다. 왕잠자리과의 잠자리는 실잠자리나 고추좀잠자리속의 잠자리를 ... ...
모두를 위한 남극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오랜 세월을 거치며 움직였다는 학설을 증명하고 있다.지금도 남극의 산들 사이 건조한
계곡
에는 생명체가 살고 있다. 캘리포니아대학의 생물학자 다이아나 프렉만은 토양 속의 박테리아를 먹고 사는 미세한 곤충들을 발견하였다. 플로리다 주립대의 생물학자 E.임레 프리드만은 다공성(多孔性)의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객석이 1백80도 회전하면서 두 영화의 줄거리가 70mm 대형화면으로 합쳐진다. 소년 소녀가
계곡
에서 물을 마시고 있는 순간 카메라는 물을 따라 소년의 몸속으로 빨려들어간다. 인체여행이 시작되는 것이다. 위와 장 등 소화기관을 보고나서는 심장을 출발해 혈액이 지나는 길을 따라 인체 곳곳을 ... ...
한국 자생 식물 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화단, 분경작품, 자생화훼, 꽃꽂이작품 형태로 다채롭게 꾸몄다. 전체적으로 흙 이끼 인공
계곡
등으로 만든 작은 동산에 야생화를 식재, 마치 야외에서 야생화를 감상하는 듯한 분위기를 연출했다.또 전시기간동안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우리꽃 이름 알아맞추기 경연대회' '자생식물 사진촬영대회' ... ...
화성에도 물이?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보이는 화성의 흔적을 설명하려고 애써왔다. 화성의 표면은 오래 전에 말라버린 강의
계곡
과 같이 보인다. 화성의 지표면 아래에 지금도 물이 있음을 알리는 특징은 '부드럽게 변한' 지표면의 다양한 무늬일 것이다. 문제는 화성이 지금의 지형적 특징을 만들 만한 물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알아내는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