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수학의 왕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값을 알아내는 방법이에요. 우리가 멀리 떨어진 행성을 관측한 값은 실제의 정확한 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관측자가 실수할 수도 있고, 관측하는 동안 순간적인 변화가 일어나서 잘못 측정할 수도 있거든요. 예언가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최소제곱법은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는 데 빼놓을 수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펠티에 소자로 만드는 작고 소중한 에어컨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의 온도가 높아지고 반대편(흡열부)의 온도는 낮아집니다. 펠티에 소자는 커피 한 잔 값이면 인터넷에서 손쉽게 살 수 있습니다. 냉각팬과 방열판도 두 개씩 준비합니다. 펠티에 소자가 만드는 열과 냉기를 잘 방출하기 위한 장치죠. 발열부에 부착할 방열판은 크기가 클수록 좋습니다. 펠티에 ... ...
- [특집] 시원한 음료, 오래 즐기자! 맛있는 얼음의 비밀은 겉넓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물로 얼음을 만든다고 생각하고 모양에 따른 겉넓이를 비교해볼까요? 계산식에 따라 값을 구해보면, 물 200㎖로 얼음을 만들 때 정육면체 얼음의 겉넓이는 약 205.2㎠이고, 구 얼음의 겉넓이는 약 165.4㎠예요. 정육면체 얼음보다 구 얼음이 겉넓이가 작아 더 천천히 녹아요. 물론 빨리 녹는 얼음이 ...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멘토를 만나 빛난 천재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1729는 무척 재밌는 수예요. 다음을 보세요. 1729는 같은 수를 세 번 곱한 두 수를 더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2가지인 수 중에 가장 작은 수거든요. 저는 수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르는 취미가 있어요. 4는 3+1, 2+2, 2+1+1, 1+1+1+1 이렇게 4가지로 나타낼 수 있어요. 그런데 수가 커지면 가르는 ... ...
- [기획] AI로 가짜뉴스 잡아볼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이런 식으로 딥러닝이 연산을 거치면서 전체 기사의 ‘불일치 정도’를 계산합니다. 이 값이 1에 가까울수록 가짜뉴스일 확률이 높습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 외에도 “가짜뉴스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거나 가짜뉴스의 패턴을 분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AI 기술이 ... ...
- [그래프뉴스] 코로나19로 일회용 포크와 젓가락 생산이 늘어났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용어정리* 생산액 : 특정 기간 동안 만든 물건의 개수에 물건 1개의 값을 곱한 값이에요.* 증가율 : 수나 양이 늘어난 비율이에요. 증가율이 10%라면 100원이었던 것이 110원(=100+1000.1)이 된 거예요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계층의 모든 뉴런과 결합한 신경망)이나 합성곱(하나의 함수와 다른 함수의 반전이동 값을 곱한 뒤 적분해 새로운 함수로 만드는 수학 연산)과 같은 독특한 연산방법이 적용되는데, 이런 연산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 반도체를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다.AI가 데이터를 학습하거나 학습된 데이터를 ...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환경방출기준치 이상에 머물러 있는 결과도 보인다. 2020년부터는 기준치 이상의 결괏값은 없다. 송 연구원은 “제 성능을 내지 못한 기간 동안 정확히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이를 어떻게 개선했는지 명확하게 밝혀야 오염수 처리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국제통상법 전문가 ... ...
- 한눈에 익히는 연립방정식과 기계학습수학동아 l2021년 06호
- x에 관한 식으로 정리한다.② 정리한 x에 관한 식을 식 ⓑ에 대입해서 y를 구한다.③ 이 값을 ①에서 구한 x에 관한 식에 대입해 x를 구한다. 5. 수많은 미지수와 데이터를 다루는 AI의 연립방정식➊ LU 분해법미지수가 3개 이상일 때 컴퓨터가 연립일차방정식을 푸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L은 Lower를, U는 ... ...
- [하비맨] 우아한 하비맨의 취미는 피아노 연주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이용해 정했습니다. 솔과 진동수의 비가 2:3인 음의 진동수는 (=()2)입니다. 그런데 이 값은 낮은 도와 높은 도의 진동수 비인 2를 넘습니다. 옥타브는 반복되므로 이 음을 2로 나누면 한 옥타브 내려간 같은 음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때의 진동수는 죠. 이 음이 ‘레’입니다. 다시 이 음을 기준으로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