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설책
이야기책
픽션
연의소설
연
영웅소설
영웅
d라이브러리
"
소설
"(으)로 총 946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름을 타고 날아라~! - 서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요술을 부리고 모험을 즐기는 귀여운 원숭이 캐릭터로 친숙한 손오공. 중국
소설
의 주인공인 손오공은 하늘에 떠 있는 ‘근두운 ... 불꽃을 내며 사라지는 것처럼요. 결국, 손오공이 근두운을 타고 다니는 것은 순전히
소설
이나 만화 속 에서나 가능한 재미있는 이야기일 뿐이랍니다 ... ...
분자전자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002
있는 디스플레이, 피부에 붙여 인체의 이상 신호를 감지해내는 소형 센서 등 공상 과학
소설
에서 보던 제품들이 현실에서도 구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3. 어디에 있어요?최근에 이 분야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대부분의 재료공학부 대학원에 분자전자재료공학 과정이 개설됐다. 성균관대, 인하대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02
깊은 바다에서 진화해 육지로 올라온 변종 동물이 인간을 공격하기 시작했다는 가상
소설
이다. 해양생물학자 6명은 인류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건 사투를 벌인다. 이 책은 지금까지 나왔던 SF 스릴러물과 다르게 예측할 수 없는 전개와 반전으로 새로운 재미를 선사할 것이다.백만 광년의 고독김보영, ... ...
편안한 눈, 즐거운 귀
수학동아
l
201001
아름다운 별 하나가 내 어깨 위에 고이 내려앉아 잠자고 있어요.”알퐁스 도데의 단편
소설
‘별’의 유명한 구절이다. 지구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별은 시리우스다. 빛의 밝기는 ‘룩스’로 표현한다. 시리우스의 밝기는 0.00001룩스, 맑은 밤 보름달의 밝기는 0.27룩스에 해당한다. 밝기는 거리의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01
‘투명 인간’, ‘우주 전쟁’ 등 현재 고전으로 인정받고 있는 과학
소설
을 써 ‘과학
소설
의 아버지’로 불린다.유령으로 가득한 세상“유령이 틀림없다. 그런데 어느 시대에 죽은 사람들의 유령일까?”그랜트 앨랜의 재미있는 주장이 떠올랐다. 만일 각 세대마다 죽어서 유령으로 남는다면 결국 온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12
세상 외에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그 반대의 거울상 세상이 드러날 것이다. D-아미노산은
소설
‘거울 나라의 앨리스’처럼 예상치 못했던 흥미진진한 생명현상을 보여주는 열쇠인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 ...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
수학동아
l
200912
10월 9일경 찬 이슬이 내린다상강 10월 24일경 서리가 온다입동 11월 8일경 겨울이 시작된다
소설
11월 23일경 눈이 오기 시작한다대설 12월 7일경 눈이 많이 온다동지 12월 22일경 밤이 가장 길다소한 1월 6일경 추워지기 시작한다대한 1월 21일경 몹시 춥다 10월 9일은 아니다?이제 각종 기념일을 챙길 때가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12
앨리스’의 속편이다. 영국 옥스퍼드대의 평범한 수학교수였던 도지슨은 이 두 편의
소설
로 불멸의 명성(필명 루이스 캐럴로서지만)을 얻었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어느 겨울날 앨리스가 새끼 고양이 키티와 장난을 치다가 거울 속으로 들어가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거울 속에 들어가기 직전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11
과학기술이 발전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그로부터 100여 년이 지난 요즘에도 수많은 과학
소설
가들이 활동하며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를 쓰고 있다. 과학과 문학적 상상력이 융합한 이런 이야기는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동시에 독자에게는 과학기술과 떼려야 뗄 수 없는 현대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11
달의 중력이 완벽한 평형을 이루지는 않지만 거의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소설
속에 잠깐 등장하는 수치라고 해도 과학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정확히 계산해서 쓴 쥘 베른이 대단해 보입니다.어디를 겨냥해야 할까?포탄이 초속 12킬로미터의 초속도를 유지한다면, 목적지에 도달할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