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1,972건 검색되었습니다.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4
에너지의 해’로 지정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전기나 화석 연료를 낭비하지 않으려고
대형
건물의 실내 온도나 네온사인 같은 조명 켜는 시간을 제한하고 있다.에너지가 위험하다불이 안 켜지니까 깜깜하고, 따뜻한 물이 안 나와서 할 수 없이 찬물로 얼굴만 간신히 씻고 나왔어. 겨울인데 난방도 안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04
포물선이 아니면 일부 신호가 초점에 정확하게 맺히지 않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형
전파망원경에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쌍곡선 모양의 반사면을 하나 더 만든다. 요원 M의 설명 잘 들었나? 난 언제 올지도 모를 신호를 기다리는 요원 M보다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을 택했어. 우주망원경으로 ... ...
평범한 개미도 ‘골리앗 개미’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3
키가 3m에 가까웠던 거인이라는 건 아시죠? 덩치가 큰 최홍만 선수 같이 큰 사람이나
대형
크레인을 보고도 ‘골리앗’이라고 불러요.평범한 개미도 골리앗 개미가 될 수 있다고?최근에 캐나다 맥길대학교의 이합 아보우하이프 교수팀이 평범한 개미 애벌레를 골리앗 개미로 만드는 비법을 찾아냈죠.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03
일정한 전기를 생산함)에 유리하다”는 장점은 바로 이런 바탕에서 가능했다.하지만
대형
원전은 한계가 많다. 우선 작은 나라나 도시에 활용하기에는 부담이 많다. 입지도 자유롭지 않다. 오늘날 많이 사용하는 원전은 물을 냉각재와 감속재로 이용하는 수형 원자로다. 우리나라 원자로의 대부분인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02
gamma-ray burst, 줄여서 GRB) 때 발생하는 후광이다. 감마선폭발이란 우주에서 가장 격렬한 초
대형
폭발현상으로 수초~수분 동안 지속된다.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는 태양이 평생 내놓는 에너지보다 크다. 태양보다 100배 이상 무거운 별이 자체 중력을 못 이겨 블랙홀로 붕괴할 때나 서로 쌍을 이룬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02
만들었다. 바로 ‘플레이스테이션 클러스터’다. 칸나 교수는 이를 이용해 초
대형
블랙홀의 중력이 주변에 영향을 끼치는 모습을 시뮬레이션했다. 슈퍼컴퓨터를 이용하려면 비싼 비용을 내고도 정해진 시간만 쓸 수 있지만, 플레이스테이션3 클러스터는 저렴한 비용으로 마음껏 쓸 수 있다. 예산 ... ...
중심체 없는 편형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1202
대한 재검토 필요성이 높아졌다.미국 캘리포니아대와 스토워즈의학연구소 연구진은
대형
포유류부터 미약한 곤충들까지 현재까지 관찰된 모든 동물에 있는 중심체가 없는 편형동물 ‘슈미테아 메디테라네아(Schmidtea mediterranea)’를 발견했다고 ‘사이언스’에 발표했다.슈미테아 메디테라네아는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02
않을 것이라 낙관하면서 시스템의 안전성을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금융시장에서도
대형
위기가 일어날 때 비슷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영웅형 나보다 세상을 먼저 구한다앞서 본 안타까운 유형과 달리 영웅형은 재난 앞에서 제 몸을 챙기기보다 주변사람을 챙긴다. 이들은 패닉 상황에서도 죽음을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02
25살에 이르는 피험자 2000여 명을 대상으로 2년마다 뇌를 MRI로 촬영해 그 변화를 분석하는
대형
연구과제로 지금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12살이면 뇌 부피 성장 완성NIMH 내 ‘어린이 정신의학 분과’에서는 어린 시절 발생하는 정신분열증이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등 질환을 연구하는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2
치대를 택했다는 뉴스에 충격을 받았다는 유 교수는 결국 노벨과학상 수상자 같은 초
대형
스타 과학자가 나와야 뛰어난 학생들이 과학에 몰릴 것으로 내다봤다.“우리나라에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자가 100명은 돼야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을까요? 지금은 10명 정도입니다만.”유명 과학자와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