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어린이과학동아
"
호
"(으)로 총 3,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요람을 벗어나,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14
여기서 선발된 두 명의 우주비행사 후보는 1년 동안 러시아에서 우주적응 훈련을 받은 후 2008년 4월발사되는 러시아의 소유즈
호
를 타고 1주일 동안 우주를 여행한다. 하지만 우주선에는 둘 중 한 명만이 탈 수 있다. 누가 탑승할 것인지는 발사 직전에 결정된다. 수만 대 1의 경쟁률을 뚫고도 마지막에 꿈을 접어야 하는 심정은 얼마나 안타까울까 ...
화산섬에서 과학과 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28
경사각 89도로 떨어지는 자턴은 가장 인기 있는 롤러코스터랍니다. 우주박물관에는 달에서 가져온 월석이 전시되어 있어요. 아폴로 22
호
와 똑같은 모형 우주선에 직접 타 보기도 했고요. 갤럭시 시어터에서는 실감나는 아이맥스영화를 보며 우주를 향한 푸른 꿈을 키웠어요. 사가 우주과학관 우주인 체험 후쿠오카의 사가 우주과학관에는 실제로 사용했던 우주인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노틸러스
호
의 최대 지름이 2m니까 원통의 둘레는 6m가 넘지.(원의 둘레는 지름×π3.14)니까)아까 대왕오징어의 다리가 노틸러스
호
의 중심을 두 바퀴 반 정도 감고 있었지? 그럼 그 녀석의 다리 길이는 15m가 넘는다는 얘기잖아! 굉장해 ... ...
우리 위성 아리랑 2
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28
...
어과동과 함께 하는 월드컵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30
세계 4강이라는 꿈을 이뤘답니다.‘꿈은 이루어진다’고 월드컵 우승이 상상으로만 가능한 일은 아닐 거예요. 이번 11
호
(6월 1일자)에 부록으로 제공되는‘레오와함께하는 독일월드컵우승보드게임’과함께 미리우승을 경험해 보세요.‘꿈은 이루어진다’한국의 월드컵 우승 가상 시나리오게임은 2006독일월드컵에서 한국의 실제 경기 일정과 똑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
2006 동물 월드컵(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30
결의가 보이네요. 축구경기 해설은 시력이 5.0이나 돼서 경기장 구석구석을 꿰뚫어 볼수 있는 독수리가 맡았습니다. 흑염소심판의
호
루라기 소리와 함께 경기가 시작됐습니다. 코뿔소 선수 멋지게 드리블을 합니다. 캥거루 선수에게 패스하는군요. 캥거루 선수 꼬리로 사자에게 패~스. 사자 선수 헤딩으로 멋지게 골! 역시 최고의 실력을 가진 동물 선수들, ...
동요나라엔 불가능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28
아주 작은 빛 알갱이(광자)로 이뤄져 있는데 이것을 마치 바람처럼 이용해 우주범선이 움직이는 거지. 미국행성협회는‘코스모스1
호
’라고 하는 우주범선을 만든 적이 있어. 이 배에는 10층 건물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 15m의 삼각형 돛이 8개나 달려 있어. 이 돛이 햇빛을 타고 움직이지. 각각의 돛은 알루미늄이 섞인 얇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졌어. 아쉽 ...
힘센 진공청소기 속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14
안녕! 난 붉은별군단의 외계인 RS-8
호
야. 무헤드 박사랑 우리 두목님과 함께 우주에서 가장 나쁜 외계인이 되기 위해 노력 중이야. 키키키〜. 그런데 얼마 전에 무헤드 박사가 지구에서 신기한 물건을 갖고 왔더라고. 뭐라고 하더라…? 맞다! 진공청소기! 우리별은 중력이 강해서 웬만한 먼지는 바닥에 딱 달라붙어서 청소하기가 힘들었는데 요걸 쓰니까 ...
신기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14
13
호
라…. 재미있는 암
호
명이었지요? 우리 조상들은 청국장을 끓이는 뚝배기처럼 순박해 보였지만 외세의 침입을 든든히 막아 냈어요. 이번 회의 주인공인‘신기전’역시 뚝배기처럼 단단한 모습으로 나라를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답니다. 신기전은 세종 30년인 1448년에 개발된 로켓무기의 일종입니다. 고려 말기 화약무기의 대가 최무선이 개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3)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31
바로 출생번
호
랍니다. 가장 먼저 제작된 지폐에는 일곱 자리 번
호
‘0000001’를 붙이고 뒤에 기
호
‘가가가’를 붙입니다. 이 기번
호
를 보면 지폐가 몇 번째로 발행되었는지 알 수 있답니다. *저승 갈 때도 돈이 필요하다! ‘돈은 살아 있는 사람한테만 필요한 게 아니래요.’ 농담 같은 이야기지만 우리 조상들은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