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PUFFER의 몸통은 여러 개의 판이 유연한 관절로 이어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답니다. 덕분에 필요한 순간에 몸을 납작하게 접어서 좁은틈을 지날 수 있지요.현재 PUFFER는 화성으로 파견되기 전, 지구 곳곳의 험난한 지형에서 실전 테스트를 받고 있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 ...
- [가상인터뷰] 바다오리 알이 타원형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알을 낳기 쉽지요. 또 구형 알은 표면적이 작아서 어미새가 몸속에서 알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를 덜 쓸 수 있답니다.하지만 최근 알의 모양이 어미새의 비행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밝혀졌어요.알과 어미새의 비행 능력의 관계가 궁금해!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생태학 및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이 균열을 통해 종이가 더 쉽게 손가락 안으로 파고든답니다. 균열이 생기면 파고드는 데 필요한 힘이 1/30로 줄어들지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변신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족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쌓이는 것을 말해요. 그런데 흙 입자들이 쌓이기 위해서는 강이나 바다와 같은 ‘물’이 필요하답니다. 물 밖에서는 흙 입자들이 바람에 날려 쉽게 흩어지지만, 물속에서는 흙 입자를 포함해 여러 물질들이 서로 엉겨 붙을 수 있거든요.다만 물속이라도 물이 흐르는 속도, 즉 ‘유속’이 느려야만 흙 ...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잠수할 때 부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먹이를 구하는 데 더 유리할 것”이라며, “날 필요가 없어 체중을 늘릴 수 있게 되면 몸속에 더 많은 산소를 저장해 오래 잠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 Part 4. 성공의 열쇠는 폐전자제품 회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스마트폰을 깨워라!도시광산 산업이 성공하려면 폐전자제품을 수거하는 것이 꼭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폐전자제품이 집 안에 방치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회수되는 양이 적지요. 특히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회수율은 평균 4.2%로, 전세계 휴대전화 회수율인 16%보다 훨씬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4주내 유아에게 접종할 경우 1.2mm로 얇은 진피에 접종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경피용은 피부에 주사액을 바른 뒤 9개의 바늘이 달린 주사 도구를 이용해 두 번에 걸쳐 강하게 눌러 접종한다. 그래서 접종 직후 18개의 작은 자국이 남는다. 피내용 BCG 백신은 정확한 양을 주사할 수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양산단층의 지류인 장사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보이지만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은 16일 “포항 지진의 지진파를 분석한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단층에서 지진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지질연은 지난해 경주 지진이 양산단층 옆을 ... ...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페이스ID’를 탑재했다. 비밀번호를 누를 필요도, 손가락을 갖다대 지문을 인식시킬 필요도 없다. 카메라와 눈빛 교환 한 번에 스르륵 화면이 뜬다. 인식 오작동 확률은 100만 명 중 1명 꼴. 5만 번 중 1번인 터치ID보다 보안 기능이 강화됐다. 얼굴 인식이 새로운 기술은 아니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클러스터가 겹치거나, 얼굴 표정, 각도, 조명, 화장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한 클러스터가 필요하다. 윤 책임연구원은 “실험실에서는 얼굴 인식률이 98% 이상인데, 공항 등에 설치했을 때에는 60% 이하로 떨어진다”고 말했다. 인공신경망 가진 ‘딥미러’ 인식률 99%최근에는 AI를 활용해 얼굴 인식률을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