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d라이브러리
"
세상
"(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미경 속 열대어, 찹쌀 도넛, 네잎 클로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볼 수 없는 매혹적인
세상
. 보건복지부, 충청북도, 충북대와 오송바이오진흥재단이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후원하는 제4회 전국 바이오현미경사진전이 지난 10월 22일 수상작을 발표했다. ‘색깔 속의 과학’(Science in Color)을 주제로 한 이번 대회에서는 지난해보다 30점 늘어난 총 243개 작품이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부위를 정확히 제거하는 ‘유전자 적중 기술’을 개발했다. 1989년에는 유전자 적중 쥐를
세상
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원하는 유전자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전자 적중 쥐는 질병을 치료하는 길을 매끄럽게 닦았다.맞춤형 쥐는 과학자가 원하는 특정 유전자를 쏙 뺀 쥐다. 사실 특정 유전자를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9세기 후반 영국의 사진가 이드위어드 머이브리지의 작품은
세상
을 놀라게 했다. 말을 타는 기수의 모습을 담은 연속사진이었는데, 안장 위에서 들썩이는 기수의 엉덩이며 박진감 넘치는 말의 다리 근육까지 마치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자아냈다.한 사진가의 기발한 실험에서 과학자들은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거쳐 도착했는지 조사해봤더니 평균 5.5명이었다. 밀그램 교수는 아무리 넓고 복잡한
세상
이라도 대체로 6단계를 거치면 모두 연결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그렇다면 6단계 분리이론은 영구불변의 법칙일까. SNS의 등장으로 6명을 거치면 누구나 연결된다는 6단계 분리이론도 곧 폐기될지 모른다.SNS ... ...
세상
에서 가장 작은 리틀펭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걸어야 해요.환한 낮에 바다에 들어가 있는 이유는 땅 위가 무섭기 때문이에요. 우린
세상
에서 가장 작은 펭귄이라 다 자라도 33㎝밖에 되지않아요. 그러다 보니 바다독수리나 갈매기에겐 한 입거리죠. 바다독수리가 하늘 높이 날아올라 우릴 발견하는 날엔! 후…. 생각만 해도 무서워요. 뒤뚱거리는 ... ...
LG사이언스홀로 떠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준비“ 됐지? 미래로떠나는 문을열어 봐!”2020년에는 어떤
세상
이 펼쳐질까?‘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 유현이와 중황이가 미래의 LG사이언스홀로 떠났어. 지구온난화로 몸살을 앓는 지구에게 선물할 청정에너지를 직접 만들고 미래의 내 아기 얼굴도 볼 수 있대. 사이언스드라마도 보고 미래의 ... ...
세상
을 움직이는 숨은 힘을 만나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 소리는 어디서 들리는걸까요? 궁금하다면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 만든 에너지체험관 ‘행복한i’로 가보세요. 행복한i는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다양한 에너지에 대해 배우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거든요. 즐거운 공놀이를 통해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배울 수 있고 원자핵 모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바로 저 곳이 리글리 빌딩이군.”2015년 미국 시카고. 도시정보제공시스템 ‘시티뷰어’의 안경렌즈 너머로 보이는 건물을 보고 과학동아 김증강 기자가 중얼거렸다. ... 감춰진 정보를 끄집어내 그 위에 덧칠하는 증강현실은 어쩌면 실제
세상
보다 더 큰
세상
을 그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 ...
부작용은 신의 선물?!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기억만 골라 지울 수 있는 ‘꿈의 신약’이 개발됐다고 최근 보도됐다. 그런데 이 약은
세상
에 처음으로 등장한 약이 아니다.원래 고혈압 치료제로 널리 쓰이던 프로프라놀롤은 무대공포증으로 남 앞에 서면 극도로 긴장하는 사람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에게 처방되곤 했다. 심신을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은하수의 별, 목성의 위성 등을 새로 발견한 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라는 책에 실어
세상
에 알렸다.갈릴레이와 동시대에 여러 사람이 동시다발적으로 제작하고 개선하던 망원경은 곧이어 중국과 일본, 그리고 조선에 전해진다.영조가 망원경 깨뜨린 이유 가톨릭 선교단체인 예수회에서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