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 개발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있지만 유독 거대한 장비가 눈에 띈다. 4년간 연구 끝에 지난해 개발하는 데
성공
한 15T FT-ICR로 질량분석연구부의 자랑거리다. 유 박사는 “세계에서 딱 하나뿐인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라며 “현존 장비보다 100배 이상 정밀하게 단백질을 분석할 수 있다”고 자랑을 늘어놨다. 기초연은 미국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4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나라의 우주선이 도킹했다. 미국의 아폴로 우주선과 구 소련의 소유스 우주선이 도킹에
성공
한 것이다. 냉전을 주도하던 두 나라의 화해를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한편, 1978년에는 소유스 26호와 소유스 27호가 살류트 6호우주정거장에 도킹해 최초로 세 대의 우주선이 도킹하는 기록을 세웠다 ... ...
‘양날의 검’ 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에른스트 체인 박사와 병리학자 하워드 플로리 박사가 페니실린을 약품으로 만드는 데
성공
.1942페니실린 대량 생산제2차 세계대전 동안 수많은 부상자가 발생하자 약 20개 제약회사가 페니실린을 대규모로 생산.1940년대 후반페니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출현2차 대전 동안 페니실린이 남용되며 곧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글쎄요. 축하받을 일인지…. 어떤 분들은 이유야 어쨌든 개체수를 많이 퍼뜨릴수록
성공
한 종이라면서 저희 같은 가축이나 농작물을 대표적인 예로 들기도 하지만…. 아시잖아요? 왜 저희가 이렇게 많은지! 사람들은 고기를 참 좋아하나 봐요? 그것도 쇠고기를. 뭐 꽃등심의 마블링을 보면 입에 침이 ... ...
자기조립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이름 권성훈! 나이 서른 넷! 한국 나이 이제 겨우 서른 넷! 그런데 벌써 명문대 교수! 2006년 서울대 전기 컴퓨터공학부 교수로 부임. 그때 나이 서른 둘! 2년 ... 가지를 찾는 일보다 쉽다. 연구는 실패의 연속이지만 이를 견디며 끈기 있게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성공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믿자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자체가 그만큼 건강하고 강하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꼬리가 화려할수록 암컷과 짝짓기에
성공
할 확률이 높다.다윈은 이 책에서 새의 노래나 인간의 음악이 성선택으로 진화한 행동이라고 추측했다. 즉 리드미컬한 소리를 내는 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천적이나 먹이에게 위치를 알려주는 불리한 ... ...
[고고학]‘직소퍼즐’ 풀듯 벽화 복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못한 조각쌍 2개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3일 동안 시험하며 150조각을 조합하는 데
성공
했다.돕킨 교수는 “그립호스가 서로 잘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각쌍인지 분석하는 데 1~2초밖에 걸리지 않는다”며 “벽화 조각쌍을 더 빠르게 분석하기 위해서 조각이 발견된 장소, 안료 질감, 보존 상태 같은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당시 다연발로켓화포인 중·소신기전을 실제로 복원한 뒤 100발을 연속으로 발사하는 데
성공
했다. 당시 재현된 신기전과 화차는 각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등에 전시돼 있다.중·소신기전은 화살에 추진체를 연결한 ‘로켓화살’이다. 당시 일반 화살의 사정거리는 100m. 소신기전은 ... ...
이슬람 사원 장식에 숨어 있는 수학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발견을 했다. 즉 타일 2종류만 써서 결코 주기성이 나오지 않는 타일링을 만드는 데
성공
한 것. 오늘날 ‘펜로즈 타일링’이라고 부르는 이런 타일 세트 가운데 하나가 연(kite)과 다트(dart)로 불리는 타일 2종이다.펜로즈 타일링은 언뜻 보기에는 무척 규칙적이다. 실제로 국소적으로는 같은 패턴을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것. 현재 연구단은 약물보다 지름이 1.6~ 1.8배쯤 되는(7~8nm) 나노 기공을 만드는데
성공
했다. “모래시계에서 모래가 일정량씩 나오는 걸 떠올리면 됩니다. 현재 동물을 대상으로 효과를 실험하고 있습니다.” 블록공중합체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김 단장의 열정이 한 여름 더위보다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