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생물체가 결합한 사이보그인 더미가 등장할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러나 전문가들은
미래
의 더미들이 컴퓨터 속 사이버스페이스로 자리를 옮겨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컴퓨터 속의 충돌시험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더욱이 시험을 여러번 반복하면서 더 정확히 현실을 반영하는 결과를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길은 청소년들이 세상에 나갈 10-20년 뒤면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알 수 없는
미래
전망에 휘둘리지 말고 지금 하고 싶은 것과 잘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지금 하고 있는 것 세가지가 맞는 분야를 택하면 보람 있게 살 수 있다고 충고한다.이공계가 좋다든지, 아니면 경영학이 비전이 있다든지 딱 ... ...
잉크젯 프린터로 전자제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미래
에는 잉크젯 프린터로 각종 전자제품이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2002년 12월에 열린 로봇 알고리즘에 관한 워크숍에서 존 캐니 교수가 이끄는 미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이 아이디어를 내놓았다.만약 이 아이디어가 실현되면 전구, 라디오, 리모콘과 같은 제품들이 비싸고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비행거리가 짧기 때문에 향후 유인우주탐사기지로 손색이 없으며, 더불어 가까운
미래
에 광물자원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또한 2002 AA29와 같은 준위성 궤도에 인공위성을 갖다 놓는다면 아직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는 소행성의 화학조성과 기원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박찬호는 메이저리거 꿈도 못꿔그렇다면 이혼남 또는 이혼녀를 복제하면 그 복제인간은
미래
에 똑같이 이혼하게 될까. 과학자들은 이같은 질문에 대부분 ‘아니다’라고 말한다. 물론 아인슈타인을 복제한다고 해서 복제인간이 아인슈타인과 똑같은 천재가 될리도 없다고 말한다.과학자들이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깨끗한
미래
를 만드는데 일조한다는 생각에 오늘도 자신을 채찍질하고 있다.“가까운
미래
에 쓰레기를 모두 자원으로 바꾸는 과학기술이 필요해질 것입니다. 과학자를 꿈꾸는 청소년이라면 과감히 도전할 만한 분야죠. 모든 전문가가 어우러진 멋진 오케스트라를 구성해야 쓰레기 없는 세상이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사업단이 되겠다”는 박 단장의 믿음직스러운 말투에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의 밝은
미래
가 묻어 있었다.한눈에 보는 정보디스플레이의 흐름▲ 브라운관(CRT) 출현전자식 TV의 개발은 1897년 독일의 물리학자인 브라운 박사가 전기현상을 이용해 최초의 CRT인 전자관을 발명함으로써 시작됐다. 194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자신을
미래
살인자로 지목하면서 동료들로부터 쫓기는 신세가 된다. 이 과정에서
미래
의 경찰이 사용하는 총은 살상용이 아닌 제압용 충격음파총이다. 자동차 조립공장에서 앤더튼은 이 총을 뺏어 추적하는 경찰들에게 쏜다. 그러자 이 충격음파에 맞은 경찰들은 두팔을 벌린 채 뒤로 나가떨어진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박 소장은 “불임을 치료하는 기술의 발전 상황을 고려하면 인간복제가 아니더라도
미래
에는 불임문제를 정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난자만으로 수정란 만드는 처녀생식2001년 11월 미국의 생명공학회사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ACT)사는 인간의 난자를 수정란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 ...
미 FDA 유전자치료 전면 중단 선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암, 관절염, 순환기질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등 인류의 난치병들을 치료할
미래
의학기술로 주목받게 됐다. 이런 상황에서 1997년 9월 미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유전자치료를 받던 제시 젤싱어라는 17살 소년이 호흡곤란으로 사망했다. 벡터로 사용된 아데노바이러스가 심각한 면역 부작용을 일으킨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