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d라이브러리
"
단
"(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콤팩트 카세트냐, 미니 디스크냐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MD를 만들어냈다.DCC와 MD. 어느쪽이 오디오시장을 장악할지는 전적으로 소비자들의 판
단
에 달려있지만, 유럽과 일본가전업체들의 자존심을 건 볼만한 한판승부임에는 틀립없다 ... ...
안정된 자세로 임무 수행 순조로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비난이 있지만, 위성을 한번 제작해보고 운영해본다는 의미와 위성 연구인력을 집
단
적으로 양성한다는 측면에선 후한 점수를 줘도 괜찮다는 평. 김진현 과기처 장관은 우리별1호가 쏘아올려지는 현지에서 이를 계기로 우리도 본격적으로 우주개발국으로 나서기 위해서 중장기 계획을 세우겠다고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폐기물을 만났을 때의 대비책으로 두꺼운 방패막이를 구상하고 있다. 우주선의 유리창에
단
하나의 페인트자국이라도 심하게 패인다면 그것은 교체되어야 한다. 무력증강이라는 바보스러운 목표로 인해 많은 스파이용 위성과 로켓이 실수로 혹은 의도적으로 우주에 쏘아 올려져 궤도중에 그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있느냐를 서울 신촌 지역과 가평 지역을 노출시간에 따라 늘어 놓음으로써 독자들이 판
단
하게끔 하자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좋은 밤하늘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되도록이면 노출을 많이 주어 빛을 많이 모으는 것이 좋으나 광공해가 심한 도시에서는 노출시간이 많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편승할 것이 아니라 조심스럽게 기초적인 연구부터 다져나가야 한다. 더디 가더라도
단단
한 길로 가야 할 것이다.아직도 과장된 선전으로 전문 연구진들의 실소를 자아내게 하는 상품이 더러 있다. 구모델과 본질적으로는 하나도 바뀐 것 없이 '뉴로'니 '퍼지'니 '인공지능' 같은 수식어를 새 모델에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이겨나가게 되지만 이 면역계통이 약해져 우리 몸의 방어력이 떨어지면 사소한 세균이나
단
한개의 암세포 혹은 남들이 보기에는 그리 크지 않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쉽게 무너지게 되는 것이다.그런데 바로 이 면역계통은 마음 혹은 정신에 의해서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마음과 정신의 근원은 ... ...
2. 국산 DTP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차장-"DTP, 구입하기 전에 용도부터 따져라"최근 DTP 프로그램을 구입하려는 개인이나
단
체, 회사가 부쩍 늘어났다. 바야흐로 사무용 DTP의 전성기가 눈 앞에 닥쳐오고 있는 것.그러나 실제 DTP 프로그램을 구입하려는 사람은 막상 어떤 제품을 사야 할 것인지 망설이게 된다. 이는 어떤 기준을 가지고 ... ...
3. 오토페이지를 이용한 문서편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있다. 8. 레이저 출력최종적으로 편집된 문서는 인쇄 매체를 통해서 빛을 발하게 된다. 간
단
한 경우 버블젯 프린터나 레이저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사진 10)은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 강좌'의 편집을 완성해 6백dpi(dot per inch)의 레이저 프린터로 출력한 모습이다.전문적으로 서적을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인간의 복잡한 정신현상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단
숨에 풀어내기 위해 한스 베르거는 뇌파연구에 착수했으나…흔히 과학자의 사적인 생활은 그가 이룩한 객관적 업적에 가려져서 세 ... 연결하여 뇌파의 변동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디지털로 표시하거나 자동으로 진
단
하는 장치도 있다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온도가 너무 높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져서 여러 개의 별을 만든다. 이러한 과정이 성
단
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우리가 대부분 별들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1/10보다는 크고 1백배보다는 작다고 보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근거에서 비롯된 것이다.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원시별은 현재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