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과학동아 l2003년 10호
- 동서로 2분하는 대서양중앙해령(大西洋中央海嶺)의 산정에 깊이 2,000m, 너비 13~50km, 길이 수백 km 이상이나 연속되는 지구(地溝 ; 中央裂線)가 있다이것은 천발지진대(淺發地震帶)의 진앙대(震央帶) · 고지열유량대(高地熱流量帶) · 72~76km/s층과 일치한다이러한 해령과 지구가 대양중앙해령의 일부를 ... ...
- 동물실험으로 독살 판정한 선조들의 지혜과학동아 l2003년 10호
- 맨 장소가 목을 맬 수 있는 높이인지, 목을 맨 대들보 위에 어지러운 흔적이 있는지, 끈의 길이가 적절한지, 또 매듭의 형태는 어떤지 등은 지금도 검시할 때 반드시 살펴야 할 대상이다.요컨대 조선시대 법의학의 근본 철학은 지금도 유효한 ‘정확성’과 ‘엄격함’이다. 다만 과학의 발전이 요즘만 ...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과학동아 l2003년 10호
- 그림 2] 또 예각삼각형에서는 3변 위에 각 꼭지점을 하나씩 가지는 삼각형 중에서 둘레의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이 수족삼각형이다 센타우루스자리에 가까운 남천의 작은 별자리 18세기 프랑스의 천문학자 N L 라카유가 설정했다 육안성은 약 30개로서 가장 밝은 별도 43등에 지나지 않아 눈에 띄지 않는 ... ...
- 한국인 행복 사이즈 실현하는 Size Korea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착용한다. 측정요원이 신체의 기준점 부위에 스티커를 붙인 후 신체 여러 부분의 길이를 직접 재고 기록한다. 다음 3차원 스캐너에 올라선다. 4개의 스캔헤드가 인체와 접촉하지 않고 수직 레일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내려오면서 전신 형상을 스캔한다. 스캔헤드마다 내부에는 광원과 디텍터가 있다. ...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북서~남동쪽으로 뻗은 대규모의 단층 수평으로 밀린 단층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며 길이는 1,000km 이상에 달하고 유사 이래 몇 번 이동하고 있다캘리포니아의 해안산맥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이 단층은 1857년에 발생한 지진으로 로스앤젤레스 북방의 단층 일부가 오른쪽으로 밀렸고, 1906년에는 ...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정밀하게 측정하는 수은온도계 독일의 화학자 E O 베크만이 발명했다측정눈금판의 길이 약 30cm 부분에 5℃의 온도 간격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량의 100분의 1℃ 까지 측정 가능하다 이 온도계의 특정 은 상부에 U자로 굽어 진 수은류(水銀溜)가 있고 하부의 수은량을 가감할 수 있도록 하부 ... ...
- 알루미늄과 강철의 키 커지기 경쟁과학동아 l2003년 09호
- 길어져 바이메탈은 철쪽으로 휘어진다. 온도가 낮아지면 알루미늄과 철은 다시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간다.어드벤처2 알루미늄 호루라기■ 왜 그럴까?!▶▶▶ 캔 조각을 불면 왜 소리가 날까?알루미늄 캔 조각으로 만든 호루라기의 구멍을 잘 막고 불면 소리가 난다. 둥근 부분에 장난감 총알 같은 ...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 막대한 전력을 이용해 알래스카 상공을 지나가는 수천km 길이, 수백km의 폭, 그리고 수백m 높이의 고속 제트기류의 방향까지도 바꿀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것은 태풍이나 토네이도와 같은 거친 기상 현상도 제어할 수 있다는 착상에까지 이르렀다.태풍을 제어하는 ...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제자는 또 이렇게 말한다.도저히 종잡을 수 없는 캐릭터다. 끼가 넘쳐난다고 밖에 표현할 길이 없다. 1994년 만29세의 나이로 한국과학기술원 최연소 교수로 부임한 인물다웠다. ‘주변에서 천재라는 소리 많이 들으셨죠?’라는 질문이 떨어지자마자 그는 손을 좌우로 휘저으며 절대 아니라고 ...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과학동아 l2003년 09호
- 환경을 바꾸면 이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도록, 더 나아가 좋은 유전자로도 바꿀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는 셈이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김용성 박사는 “환경 변화로 인한 메틸화는 염기서열을 바꾸지 않더라도 유전자의 기능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전혀 새로운 생물학의 출발을 예고하고 있다”고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