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모든 대화를 마우스가 지원되는 그래픽 모드에서 가능하도록 했다. 이러한 앨토의 개념을 근간으로 애플사는 1980년대 중반에 리자(Lisa)와 매킨토시를 잇따라 개발하게 된다.그래픽 기술과 영화산업의 연합은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컴퓨터를 영화에 사용하려고 애쓴 최초의 사람은 존 휘트니 1세라는 ... ...
- 아시모프의 삶과 꿈과학동아 l1992년 05호
- 기법을 도입하여 사회의 변화를 최소한의 오차로 예측하는 '심리역사학'(Psychohistory) 개념을 창안한 것으로 유명하다. 아시모프가 이 작품을 처음 잡지에 연재한 것은 1942년, 그가 컬럼비아 대학원에서 화학을 공부하던 22세 때였다. 이 시리즈는 아시모프가 타계하는 순간까지도 계속됐던 것으로서, ...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일이다. 이는 물론 잘못된 공간 척도 개념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잘못된 시간 척도 개념에서 비롯된 대표적인 예로서는 수억년 전인 중생대에 번성하였던 공룡들과 겨우 수백만년 전인 신생대에 처음으로 등장한 원시인들이 서로 싸우는 장면을 들 수 있겠다.별들이 약1천억개 정도가 모여서 이루는 ...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여러 분야에서 응용 발전되고 있다. 이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서 가상현실이란 개념이 어렴풋이 생겨나고 그 구체적인 연구가 시작된 시기는 1960년대이다.1963년 그래픽 입출력장치인 스케치 패드를 개발, 컴퓨터 그래픽분야의 선구자가 된 미국 MIT의 아이 반 서덜랜드는 평면적인 화면(2차원 ...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놓쳐버리기 쉽기 때문이다.뇌사란 규정은 사실 인공호흡기가 도입되면서 제기된 개념이다. 인공호흡기 등 현대식 생명유지장치의 출현이전에는 뇌사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사실 불가능했기 때문 우리나라에서 법률적으로 '죽음'으로 인정하고 있는 심장사와는 달리 뇌사는 뇌의 전 기능이 죽은 것을 ... ...
- (1) 생명의 신비 추적, 구조식 그린다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인체게놈의 유전정보를 이해하고 연구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거리의 개념이 포함된 지도를 제작하고 있는데 그것이 물리적 지도다. 이 지도는 특정 염기수마다 표식(STS, sequence-tagged sites)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10만개의 염기(lcentimorgan, cM)당 하나의 표식을 함으로써 ... ...
-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92년 04호
- 발생시킨다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핵이「군중심리」를 보인다만일 이와같은 개념이 핵에 적용된다면 어떻게 될까. 핵자의 질량은 전자에 비해 2천배 가량 큰 만큼 그에 따른 질량변화의 폭도 아주 커지고(관련되는 입자질량의 제곱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방출에너지도 엄청나게 증가할 ...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과학동아 l1992년 04호
- 같지만 하지 때는 낮의 길이가, 동지때는 밤의 길이가 더욱 길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이 개념도 2월호 (그림4)를 보면 다른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다. 북반구 중에서도 극에 가까운 지방은 하지때 밤이 매우 짧게 된다. 백야(white night)라는 말은 바로 이것을 가리킨다. 노태우 대통령이 겨울에 ... ...
- 태양전지 거북선·자동차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올려졌다. 그 결과 마징가제트형과 매미형이 채택 됐다. 솔라카의 디자인에서 중요한 개념의 하나는 태양 전지가 차지하는 집광면적. 한밭벌 솔라카의 집광 면적은 8㎡. 이 면적으로 1㎾의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태양전지거북선의 디자인은 솔라카와는 다른 차원의 어려움이 있다. 거북선의 옛모습을 ... ...
- (1) 한 악기로 오케스트라 효과 낸다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신호체계 즉 같은 방식으로 소리를 내게 한다는 약속이다. 이는 우리가 여지껏 알고 있는 개념대로 모든 악기들이 꼭 그 악기에 붙어있는 연주방법(건반을 두드리거나 불거나 현을 퉁기거나)이 아닌, 미디악기라면 모두 장착하고 있는 미디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미디신호로, 즉 외부의 미디기기를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