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스페셜
"
지금
"(으)로 총 3,825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81가지를 수집해 유전자를 비교한 연구결과를 학술지 ‘플로스 유전학’에 발표했다.
지금
까지 220회 넘게 인용된 이 논문에 따르면 인류가 이용하는 빵효모는 약 12000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처음 길들여졌다. 그리고 약 3800년 전 이 가운데 일부가 오늘날 사케(일본 청주) 효모로 특화됐고 약 2700년 전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계기는 올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일 것이다.
지금
까지 수차례 총회가 개최됐고 실천방안이 논의됐지만 기후변화의 주요 ‘기여국’인 미국과 중국의 비협조와 참여한 나라들의 실천의지부족으로 이렇다 할 성과가 없는 게 현실이다. 그런데 이번 총회는 ... ...
안전한 미래를 위한 제4세대 원자력발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8.05
제4세대 원자로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그 때가 되면 원자력발전에 대한 개념과 인식도
지금
과는 많이 달라질 것이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COOKING의 과학] 국민 음식 닭고기로 여름나기
KISTI
l
2015.08.04
했는데, 여기에 인삼을 넣어 계삼탕이라고 하다가
지금
은 삼계탕으로 부른다. 그런데
지금
은 삼계탕이 서민 음식이 됐고 오히려 보신탕이 서민이 먹기에는 부담이 가는 특식이 돼 버렸다. 서울 반가 사람들이 즐겼던 백성 ‘民(민)’자를 쓴 민어(民魚) 또한 비싼 생선이 돼 먹기에 부담스럽게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의미가 뭔지 감이 안 올 텐데 한 마디로 현대의학의 도그마에 타격을 입힌 것이다.
지금
까지는 뇌 속에 림프관이 없다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즉 현대의학은 봉한관보다 훨씬 실체가 명확한 림프관조차 그 분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던 셈이다. 따라서 50여 년 전 존재가 제안된 ... ...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31
경고가 개발 초기부터 있었다. 미국의 비영리독립언론 ‘프로퍼블리카’가 2008년부터
지금
까지 보도한 셰일가스 위험성은 자못 심각하다. 셰일가스 시추공 주변 지하수에서 발암물질인 벤젠과 스트론튬, 독극물인 비소 등이 발견됐다. 와이오밍주에서는 시추공 근처 주민의 94%가 건강이상을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7.28
고유어가 공존하는 북한의 이중어휘체계를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 북한은
지금
분단 70년 동안 달라진 것은 과학 용어뿐만이 아니다. 남북한은 그동안 각기 다른 과학기술정책을 펴왔다. 그 결과 과학기술 역량이나 강점 분야, 과학 인력 인프라 면에서 큰 차이가 벌어졌다. 북한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것(c는 참쿼크다). 잠시 존재하던 펜타쿼크는 케이온(c c), 양성자(u u d)로 붕괴한다.
지금
으로서는 펜타쿼크가 어떤 상태로 존재하는지 알 수 없지만 연구자들은 두 가지 모형을 제시했다. 펜타쿼크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는 아직 모르고 있지만 두 가지 모형이 있다. 첫 번째 모형은 쿼크 다섯 ... ...
[LIGHT] 꿀잠을 위한 간단 팁, 깜깜하게 자라!
KISTI
l
2015.07.14
온기를 주고 안전을 지켜줍니다. 빛을 이용한 녹색식물의 광합성이 없었더라면 지구는
지금
도 아무것도 살지 않는 삭막한 행성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2015년은 UN이 지정한 "세계 빛의 해"입니다. 2015년 과학향기에서는 ‘빛’을 주제로 한 칼럼을 연 4회 기획하고 있습니다. 과학향기 ... ...
방사선으로 수질 오염 잡는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07
깨끗한 물을 확보하는 일은 항상 중요한 문제였다. 특히 많은 인구가 밀집되어 사는
지금
은 더욱 그렇다. 원자력 기술은 인류 문명에 필수적인 수질 정화에도 유용하다. 방사선은 각종 폐수를 정화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전자빔 가속기에서 만들어진 방사선은 기본적인 살균력을 가지고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