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뉴스
"
내
"(으)로 총 14,8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DGIST 연구팀, 혈액 속 암세포 자동 분리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밝혔다. 김 박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제철, 조선, 전자, 중화학 산업 등 국
내
주요 산업의 최초 육성방안을 기획해 이들 산업 탄생의 밑그림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산업발전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
스트레스가 면역 노화 부추겨 질병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억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CMV에 감염되면 대부분 무증상 상태로 평생을 지
내
지만 CMV가 활성화되면 면역 노화를 가속화하고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 스트레스 점수가 높을 때 CMV가 활성화되는 경향을 보였다”며 “CMV 백신 접종이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 노화를 ... ...
누리호 발사 연기 원인 규명 착수...23일까지 발사 어려울 수도
2022.06.16
먼저 연결하고 전기 부품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확인했다. 점검 과정에서 발사체
내
부 모든 전자장치를 점검한다. 다른 장치는 다 이상 없었고 레벨센서만 특이사항이 있었다. 현재로는 다른 문제는 없다고 판단한다. - 레벨 센서 점검 작업 난이도는 난이도는 높지 않다고 본다. 다만 ... ...
'과학외교 전담조직' 필요성 띄운 외교부…신흥안보 대응 포석
연합뉴스
l
2022.06.16
신설을 검토하는 것은 점차 중요성이 커지는 과학기술 대외 업무를 소화하기에 현재의 부
내
조직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에서다. 최근 과학기술은 외교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 의제가 됐다. 4차산업 혁명과 함께 첨단기술 개발과 보호가 미중 패권경쟁의 치열한 전장으로 떠올랐고 가치를 ... ...
누리호 23일까지 발사 가능할까...과거 발사연기 때는 어땠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누리호는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예비일이 16∼23일로 설정돼 있다. 이 기간
내
에 발사되지 못하면 다시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추후 일정을 논의해야 한다. 또 한국 정부가 국제사회에도 발사 관련 일정을 다시 통보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③백두산 분화 감시하는 초소형위성 '스텝큐브-2'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실무 중심 교육과 맞닿아 있어 학생들에게 양질의 취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실
내
큐브위성 개발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쎄트렉아이, 솔탑 등 우주 분야 기업으로 취직해 활동하고 있다. 오 교수는 지역 대학에서 실험실을 운영하는 데 대한 한계를 느낀다고 솔직히 밝히기도 했다. 오 ... ...
국민 20명 중 19명 코로나19 항체 가져...자연감염 항체 석달새 0.6%→36%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서울 중구보건소에서 한 직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체 채취 키트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민 20명 중 19명이 백 ... 목표로 진행된다. 이 조사에서는 항체 보유 여부를 포함해 기저질환 여부나 접종력,
내
원 여부까지 조사한다. 7월 8일부터 조사에 착수할 전망이다. ... ...
아연, 정자의 수정 능력을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그 결과 1752개의 단백질이 아연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아연이 정자
내
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과정에서 핵심 조절 인자라고 추론했다. 1752개 단백질 중 102개는 정자가 수정 능력을 갖출 때 다량 생성되는 단백질이었다. 연구팀의 분석결과 아연은 정자가 수정할 수 없는 상태를 ... ...
국
내
연구진, 질병 세포만 쏙쏙 노리는 유전자 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효과적으로 억제됐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질병 세포에서만 기능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시스템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안정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또 질병 세포가 인식하는 염기서열을 교체해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질병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은 기존 유전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수수께끼 풀리나
2022.06.14
등장한 RNA 세계 가설은 생명의 기원이 DNA냐 단백질이냐를 두고 일어난 오랜 논쟁을 끝
내
며 지금까지 가장 유력한 가설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DNA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지니고 있고 DNA를 복제하려면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단백질)가 있어야 하므로 둘이 동시에 진화하지 않는 이상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