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 쇠톱을 관찰하자, 범죄현장의 창문틀에서 발견된 금속 파편과 똑같은 금속파편이 발견됐다. 또한 신발 밑창에서 방범창 금속과 같은 금속 파편들이 박혀 있었다.범인 검거 성공!인공먼지를 팝니다자, 이번 먼지는 실험실에서 만든 귀한 인공 먼지들입니다. 널리고 널린 먼지를 뭐 하러 ...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최윤서 교수를 통해 미국의 수학자 조지 앤드류스가 라마누잔의 잃어버린 노트를 발견한 뒷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1976년 미국의 수학자 조지 앤드류스 교수는 독일에서 열리는 학회에 참석해야 했다. 그 당시는 유럽에 체류하는 기간이 짧으면 비행기 값이 몇 배로 비싸졌다고 한다. 앤드류스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PTSD 환자의 경우 전두피질에 있는 전방대상피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해 ‘생물정신의학’ 2001년 12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전방대상피질은 불안한 감정이나 고통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부위인데,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군인 가운데 PTSD 환자들과 일반인을 각각 8명씩 뽑아 fMRI ... ...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H1N1부터 H16N9까지 144개의 아형(subtype)이 존재할 수 있다(최근 박쥐에서 H17, H18이 새롭게 발견됐다). 예컨대, 조류독감은 H5 또는 H7 단백질을 갖는다. 매년 사람에게 계절성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H1N1과 H3N2다. B형 바이러스는 뚜렷이 구분되는 아형은 없는데, 항원 단백질 염기서열의 ...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지나며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냈다.분석 결과 러브조이 혜성에서는 총 21종류의 분자가 발견됐다. 그 중에는 술을 만드는 원료인 에탄올(C2H5OH)과 생명체의 주요 성분인 글리콜알데히드(CH2OHCHO)가 포함돼 있었다. 주저자인 니콜라스 비버 프랑스 LESIA 연구원은 “매 초마다 최소 와인 500병 분량의 ... ...
- 태풍보다 20배 센 외계행성 바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항성측 표면(낮 방향)에서 항성반대측 표면(밤 방향)으로 바람이 초속 2.4km로 부는 사실을 발견했다. 지구의 태풍보다 20배 이상 빠른 속도다.라우든 연구원은 “태양계 밖 행성의 기상 지도를 만든 것은 처음”이라며 “궁극적으로 지구형 외계행성의 대기조건을 파악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 ...
- [과학뉴스] 물 분자, 그래핀 위에선 ‘서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재료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런데 최근 그래핀의 또 하나의 놀라운 특성이 발견됐다.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밍 마 박사는 그래핀 표면에서는 물 분자가 다른 물질 표면에서보다 최소 10배 더 빨리 확산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물 분자는 물질 표면의 한 지점에서 다른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접합에서 만들어지는 전위차가 계단 모양으로 양자화 돼 있다는 말이다. 이를 처음 발견한 과학자의 이름을 따서 샤피로 계단이라 부른다.만약 조셉슨 접합 Ν개를 직렬로 연결하고 같은 실험을 하면, =(2e/Νħω) n 이 되는 부분마다 평평한 계단들이 보이는 거대한 샤피로 계단을 얻게 된다.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어떤 요리사는 MSG를 “최고의 재료”로 꼽습니다. 도대체 MSG가 뭐기에 이러는 걸까요.발견된 지 100년 넘은 감칠맛1907년 일본으로 가볼까요? 우리가 만날 사람은 도GIB쿄대 물리화학과 교수인 이케다 기쿠나에 씨입니다. 이케다 교수는 국물에서 나는 독특한 맛이 궁금했습니다. 당시만 해도 혀가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모습은, 심지어 연대가 18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조지아의 드마니시 화석에서도 발견된다. 늙은데다 치아가 모두 빠져 제대로 씹을 수 없었음이 분명한 드마니시 3444호 화석의 주인공은 (아마도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며) 오래 살았다. 이유 없이 이웃을 죽이는 얼굴도 인간이지만, 혼자 힘으로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