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자동차, 안전을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졸음운전은 위험해요! 휴게소에 들러 휴식을 취하세요!” 이젠 차가 운전자에게 위험한 상황을 알려 주고 있어! 이렇게 멋진 조수가 있으면 운전이 훨씬 안전해지겠지?사람을 관찰하는 자동차?2016년 7월, 강원도 평창군 봉평터널에서는 버스 운전사의 졸음운전으로 4명이 죽고 16명이 다치는 사고 ... ...
- [과학뉴스]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알려져 있어요. 정말 이말이 사실일까요?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의 스테이시 하머 교수 연구팀이 해바라기에 대해 연구했어요. 그 결과 어린 해바라기들만 낮과 밤에 따라 움직인다는 게 밝혀졌지요. 반면 다 자라 꽃이 핀 해바라기는 항상 동쪽을 향해 있었어요.꽃이 ...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심판, 왜 오심을 하는 걸까?2008년 10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심리학과 데이비드 휘트니 박사는 테니스 경기 4000건에서 오심 사례 83건을 찾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어요. 테니스 경기에서는 공이 선 밖으로 나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득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요. 오심은 이를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서울 전역에 전기를 공급할 새로운 발전소가 세워졌다고 가정해 봐요. 이때 전기선을 연결하는 변전소와 전봇대를 어디에 설치하는 게 좋을까요? 가장 싼 가격으로 가장 많은 지역에 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게 좋겠죠? 즉, 가장 적은 비용이 드는 경로를 찾아야 해요. 바로 이때 ‘최소 ... ...
- Part 3.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영상으로 올라오기 시작하자 사체가 발견되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영국 세인트 앤드류 대학교 이안 보이드 교수팀은 상괭이처럼 초음파를 사용하는 ‘부리고래’가 인공음파를 듣고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했어요. 그 결과, 군사 훈련에 사용하는 초음파를 쏜 경우 고래들이 이상행동을 보이는 ... ...
- [과학뉴스] 길이를 내맘대로! 초소형 자석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있어서 몸속에서 활동하기에 한계가 있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학교 김민준 교수팀이 작은 자석을 이용해 길이를 마음대로 변화시킬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지름이 4.3*μm인 작은 구슬 모양의 자석들이 일자로 연결돼 있는 형태랍니다. 이 로봇에 자기장을 걸어 ...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정보를 담을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크게 발전했지요.그런데 최근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 샌더 오뜨 박사팀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저장 장치보다 용량이 수천 배나 큰 저장 장치 기술을 개발해 발표했어요. 이는 우표 한 장 크기의 작은 칩에 지금까지 나온 모든 책을 다 담을 수 있는 거대한 ... ...
- [도전! 코드마스터] 빠른 길 찾기의 비결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한결이가 수호에게 첫 과제를 내놨어요. 학교까지 가는 가장 빠른 길을 찾는 거죠. 이건 바로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익히는 과정이랍니다.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주어진 지점들을 잇는 가장 ‘빠른 길’을 찾는 알고리즘이에요. 지하철 환승 경로 찾기, 대중교통과 자동차에 맞는 빠른 길 찾기뿐 ... ...
- [과학뉴스] 초소형 가오리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0원짜리 동전보다 작은 가오리 로봇이 개발됐어요.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교 위스생물공학연구소 박성진 박사팀은 몸무게 10g, 몸통 너비 16mm의 초소형 가오리 로봇을 개발하고 이 로봇이 물속을 헤엄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답니다.가오리 로봇의 뼈는 금으로, 근육은 쥐의 심장근육세포로, 피부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사라진 이모의 행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말할 때 쓰기도 한답니다.하지만 기생생물의 능력은 생각보다 놀라워요. 일본의 고베대학교 연구팀은 기생 관계에 있는 은먼지거미와 맵시벌에 대해 연구했어요. 맵시벌은 천적으로부터 안전한 은먼지거미 몸에 알을 낳아요. 그러면 알은 거미의 몸을 영양분 삼아 쑥쑥 자라나 유충이 되지요.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