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어떻게 열차가 이렇게 빨라질 수 있었던 걸까?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도 초고속열차를
개발
했다고?더 빠른 열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 ... 공급하는 장치, 철도 신호, 안전 설비 등의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해요. 끊임없는 기술
개발
을 통해 친구들이 더 빠른 열차를 탈 수 있게 노력할게요!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C언어’예요. 1972년 미국의 벨 연구소에서 일하던 데니스 리치가
개발
했는데, 처음
개발
된 B언어를 개선해 만들었기 때문에 C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C언어는 여러 명이 한꺼번에 접속해서 일을 할 수 있는 ‘유닉스’ 시스템을 만드는 데 주로 쓰였어요. 하지만 지금은 윈도우나 iOS 등 우리가 ... ...
[수학뉴스] 온라인 게임하면 수학 성적 오른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하니 주의해야겠습니다.연구팀은 호주의 15세 학생 1만 2000명을 대상으로, 경제협력
개발
기구에서 실시하는 학업성취도평가 결과와 온라인 게임을 하는 빈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거의 매일 게임을 하는 학생의 수학과 독해 성적은 평균보다 15점이 높았습니다. 과학 성적은 무려 1 ... ...
[수학뉴스] 걷는 테이블이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바우터르 스회블린은 앞으로 밀면 마치 걷는 것처럼 뚜벅뚜벅 앞으로 나아가는 테이블을
개발
했습니다. 그는 사람이나 동물처럼 자연스럽게 걷는 테이블을 만들고 싶었고, 1년의 노력 끝에 세계 최초로 걷는 테이블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지금은 10일 정도면 테이블을 만들 수 있어 판매도 하고 ... ...
[소프트웨어]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지~ 착시 퍼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착시 도형을 만나볼 수 있어요. 에스허르는 영국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로저 펜로즈가
개발
한 착시 도형인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 계단’ 등 다양한 착시 도형을 작품에 담았어요.펜로즈 삼각형은 보는 방향에 따라서 모양이 다르게 보이는 도형이에요. 어떤 방향에서 보면 삼각형처럼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교사 또한 행복해질 것으로 믿는다.아울러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재미있고 유익한 활동을
개발
하기 위해 애쓰는 미래교실 네트워크 소속 교사들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거꾸로 교실을 지속할 수 있었던 건 학생들을 수학의 매력 속으로 끌어들인 활동 덕분이다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2015년 4월호 참조). 웨더아이는 개화 예보를 할 때 회귀 모델뿐만 아니라 기상청에서
개발
한 생물계절모형도 함께 이용해 정확성을 높인다.하지만 단풍은 생물계절모형이 없다.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개화에 비해 단풍은 데이터가 많지 않다”며 “개화는 곤충들의 짝짓기 시기와도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최종적으로 ‘불성실 실패’ 평가를 받은 연구자에게는 연구비 환수나 3년 동안 연구
개발
사업 참여를 제한하는 등의 불이익이 주어진다.비도덕적인 연구자들을 걸러내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실패 판정에 대한 연구자들의 거부감이 매우 크다. 처음 계획한 대로 순조롭게 진행되는 연구는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파악에는 영상처리, 드론 제어 기술이 필수”라며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되는 경우는 아직 많지 않지만, 그에 필요한 핵심기술은 이미 연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을 정도입니다. 2011년부터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는 박성진 박사(가오리 로봇을
개발
한 주인공!)에 따르면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라 연구소 내 전문 기술자에게 얘기를 하면 곧바로 첨단 장비를 이용해서 부품들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준다고 합니다. 또 연구비를 따기 위해 제안서를 작성할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