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커졌다는 것은 같은 크기의 사진을 더 많은 점으로 나타낸다는 뜻이다.하지만 화소 수가 1000만을 넘어간 요즘, 화소 수가 더 커지더라도 사진의 화질에는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다만 커다란 사진으로 인화할 때 유리할 뿐이다. 사진 인화회사에서는 화소 수에 따라 인화할 수 있는 용지의 최대 ...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없다는 사실은 1950년대에야 러시아 수학자 알렉산드로프가 증명했다. 또 플라토가 100년 전에 실험으로 발견한 비눗방울의 기하학적 성질도 1970년대에 미국 수학자 테일러가 증명했다. 그가 비누거품이 서로 합쳐질 때 플라토가 알려준 대로 세 개의 비눗방울이 만날 때 세 모서리가 정확히 120°로 ...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액추에이터’를 이용한다. 120kg 정도의 짐을 짊어지고 걸을 수 있다. 로봇 자체의 무게는 100kg. 건장한 성인 남자의 몸무게가 80kg 정도라는 걸 감안하면 하이퍼1은 300kg을 거뜬하게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유압 공급 장치가 크고 무거워 실험실 안에서만 움직이는 걸로 만족했다.생기원은 이런 문제를 ...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다르다.이와 같은 방식으로 박태환 선수의 실력을 분석해, 400m 종목에서 250m 구간 이후로 100m당 스트로크를 32회로만 유지하면 더 좋은 기록을 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삼각형 모양의 돌기 붙인 전신 수영복이 금지된 이유초창기 수영 경기에서 수영복은 신체 노출을 줄이는 데 목적이 ...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Adris tyrannus )분류 : 나비목/밤나방과날개 편 길이 : 100~105mm특징 : 여러 개의 다리(polypod)[애벌레가 으름덩굴을 먹기 때문에 으름밤나방이란 이름이 붙었다. 종령 애벌레 몸길이는 70mm 내외. 애벌레는 붉은색 혹은 검은색을 띠며 두 번째, 세 번째 배마디에 눈알 모양의 큰 무늬가 각각 한 쌍씩 있다. ... ...
- 수상 이력 보다는 자유로움 꿈꾸길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다른 연수사업과는 달리 자유롭게 개발하는 환경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 선발되는 100명에게는 장학금과 노트북을, 최종 10인으로 선발된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에게는 약 500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파격적인 정책을 폈다. 이 과정을 지원하는 학생 대다수는 경시대회에서 거둔 좋은 성적을 ... ...
- Part 3. 꿀벌 없는 세상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동양 꿀벌 여왕(영혼) : (종종 걸음으로 등장) 작물을 잊으면 안 되지. 사람이 키우는 세계 100대 작물 가운데 71%가 꿀벌 없이는 열매를 못 맺으니까. 오이, 수박 등 대부분의 과채가 포함돼.서양 꿀벌 여왕(영혼) : 오, 자네 왔는가.나비, 뒤영벌 : 어서오십시오. (꾸벅)동양 꿀벌 여왕(영혼) : 우리가 없는 ...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궤도용 민간 우주비행선으로 ‘시에라네바다시스템’의 ‘드림체이서’와 보잉의 ‘CST-100’, ‘오비탈사이언스’의 ‘시그너스’가 개발 중이다.기업들은 궤도용 민간우주비행선 개발과 함께 여행객이 우주공간에서 머물 전용 우주호텔도 준비하고 있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우주호텔은 2015년에 ...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국제비전리방사보호위원회(ICNIRP)는 동물실험 등을 토대로 100kHz~10GHz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흡수율 기준을 전신 0.08W/kg, 머리·몸통 2W/kg, 팔다리 4W/kg로 정해 두었다. 그러나 ICNIRP 권고기준은 어른과 어린이를 따로 구분하지는 않았다. 최 박사는 “앞으로 어른보다 전자파 ... ...
-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없다. 신경망 너머까지 약물을 전달한다 해도 노즐의 크기가 1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 정도로 아주 가늘어 신경망을 피할 수 있다. 신경망을 건드린다 해도 약물이 유입되는 속도가 아주 빨라 통증을 느낄 새가 없다.“지금도 대부분의 피부과 병원에 레이저 치료기가 있습니다. 여기에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