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3. 고공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때문에 우주조종사들은 완전히 계기에 의존해서 활동할 수밖에 없다.또 우주환경에는
태양
열과 심한 추위, 방사선 및 소유성체와의 충돌 등 지상에서 경험할 수 없는 수많은 위험들이 도사리고 있다. 우주조종사는 외부환경과 격리된 선실내에서 생활하는데, 선실내에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 ...
인류최대 행성탐사선 카시니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원시지구와 비슷타이탄(Titan)은 행성인 수성이나 명왕성보다 큰 토성 최대의 위성이다.
태양
계 위성으로선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다. 반지름은 2천6백km로 지구의 3분의 1정도. 그래서 위성이라고 부르기가 웬지 쑥스러운 천체다.일찍부터 타이탄은 생명체가 살고 있을지 모른다는 ... ...
메두사를 쓰러뜨린 영웅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별이 어두운 별을 가릴 때도 광도가 떨어지지만 맨눈으로는 알아챌 수 없다. 밝은 별은
태양
보다 1백배나 밝은 청백색의 별이고, 어두운 별은 밝은 별보다 크기는 크지만 어두운 노란색 별이다. 두 별은 너무 가까워 망원경으로도 분리돼 보이지 않는다.영국의 아마추어 천문가 존 굿릭은 1783년에 ... ...
장애아들을 위한 과학놀이 한마당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밝혔다.공교육의 시작 단계인 유치원의 교사에서 대학생까지 참여한 야외 실험 시범은
태양
전지로 움직이는 자동차 시범에서 재생종이 직접 만들어 보기까지 50여 종류의 부스로 이뤄졌다.야외 실험 시범이 진행된 운동장은 교과서 속의 과학이 일상적으로 들를 수 있는 슈퍼마켓으로 옮겨져 있는 ... ...
80년 후 지구상에 열대우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열대우림은 평균 30-50m씩 자라는 상록수가 두터운 임관(林冠)을 형성하면서 숲 안으로
태양
광선 투입이 거의 차단될 정도로 높은 밀도를 유지하고 있다.흔히 세계 3대 열대우림지역으로는 중남미 열대우림, 아프리카 열대우림, 그리고 말레이시아 열대우림이 꼽힌다. 이 가운데 지구 전체 ... ...
화성운하의 진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스키아파렐리였다. 그는 화성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인 충일 때(지구를 중심으로
태양
과 화성이 정반대의 위치에 있을 때) 화성 표면을 정밀하게 관측했다. 그 결과 화성표면에는 힘줄처럼 생긴 것이 있음을 확인했다. 그는 이것을 '카날리'(이탈리아말로 '해협'이라는 뜻)라고 불렀다. 그가 본 ... ...
노벨물리학상/추·코엔타누지·필립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뜨거운
태양
아래 있으면 따뜻함을 느낀다. 빛의 에너지가 우리 몸에 전달됐기 때문이다. 물리법칙에 따르면 빛은 우리 몸에 에너지를 전달해 줄 뿐만 아니라 운동량도 전달한다. 즉 빛의 작은 알갱이들(이하 ‘광자’)이 우리 몸에 수없이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단지 광자 하나하나가 우리에게 주는 ... ...
Ⅰ. 대피라미드와 돌항아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현장까지 썰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대피라미드 남쪽에서 발견된 '제1
태양
의 배'는 당시 이집트의 건조 능력을 보여준다. 현재 원형이 복원돼 전시되고 있는 이 배는 좌우측에 5명씩, 그리고 배 앞뒤에 1명씩 총 12명의 노젓는 사람에 의해 운행된 것으로 보인다.배의 규모를 볼 때 총길이 42 ... ...
화성 생명체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사용하며 화성에 도착하는 ‘호먼궤도’를 따라 비행한 거리다. 지구와 화성 모두
태양
을 중심으로 타원궤도를 따라 공전한다. 만일 지구가 공전하는 방향으로 화성을 향해 우주선을 쏘아올리면 우주선은 공전속도를 이용해 가장 적은 연료를 들이며 화성에 도착할 수 있다. 이때 우주선이 비행하는 ... ...
딸자랑에 교만했던 카시오페이아 왕비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볼 수 있다. 다만 수성까지 볼 수 없는게 아쉽다. 수성은
태양
에 가장 가까운 행성이라
태양
에 바싹 붙어다니므로 평소에도 잘 볼 수 없다.옛 기록에는 행성들이 모두 모이는 때에 덕있는 사람이 정권을 잡으면 나라가 부강하게 된다고 한다. 이번 달에 행성들이 모두 한 하늘에 모이는 것이 올 12월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