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잎의 모양도 다른데, 전체적으로 둥글면서 모서리가 말려 있거나 3갈래로 나눠진 부분이 있어요. 잎맥은 가지 쪽에서 동시에 여러 개가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예요.여름이 되면 생강나무에 작은 콩처럼 생긴 초록색 열매가 열려요. 꽃처럼 가지에 붙어 꼿꼿하게 서 있지요. 익으면서 점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스토리 따라잡기시원이의 실수허겁지겁 옷을 걸쳐 입고 화학실로 뛰어간 시원이가 화학실 문을 벌컥 열었어요. 다행히 선생님은 오지 않으셨네요. 시원이는 안도의 숨을 내쉬 ... 만드는 현상을 관찰했어요. 이 소금물이 돈 후안 호수로 흘러들어 염도가 높은 호수가 만들어진 거랍니다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세상의 시선이 어느 정도 바뀌고 난 뒤가 배경이다.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인간이 진화의 다음 단계로 돌연변이를 받아들인다. 이런 상황에서 내부에서 갈등하는 돌연변이들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대립 결과가 궁금하다면 영화 ‘엑스맨:아포칼립스’에서 확인해보자 ...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다양하다는 것이에요. 여기에U자형, V자형, 또는 W자형처럼 고불고불한 경사가 더해진다면 어떨까요? 마치 이차, 삼차, 사차함수 곡선 위에서 스키를 타는 기분이 들 거예요.비슷한 생각을 한 사람들이 있어요. 수학과 예술을 접목시키기를 좋아하는 미국의 게임 개발자 크리스토퍼 워커는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말은 19세기 말이 아니라 오늘날 비판적으로 음미해야 한다. 모든 것이 가능해진 시대에, 우리는 무엇으로 이 말을 역설로 만들 수 있을까.※ 바로잡습니다과학동아 5월호 시사기획 ‘비정규직 과학자 벼랑 끝에 서다’ 중 1파트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입니다”에서 일부 내용을 바로잡습니다. 38쪽 ... ...
- [과학뉴스] 반데르발스 힘, 원자 단위에서 최초 측정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되는 비활성기체 원자들을 ‘나노 비커’에 가뒀다. 나노 비커는 구리 원자들로 이뤄진 그물망 모양의 구조로, 마치 둥지에 들어 있는 알처럼 비활성기체 원자가 그 안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한다.연구팀이 각 원자와의 거리를 바꿔가며 반데르발스힘을 측정한 결과, 이론에서와 같이 거리가 ... ...
- [과학뉴스] 떠내려가는 난센빙붕 포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일 오전 8시 사이다. 전문가들은 2013년 말~2014년 초 이상고온의 영향으로 빙붕의 균열이 커진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빙붕의 이동은 육상에 남아있는 빙하에도 영향을 미친다. 빙붕이 많이 깨져나갈수록 빙하의 이동 속도가 빨라져 해수면 상승을 가속화시킨다.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해상도가 1m로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020년대가 되면 중력파 관측소들이 속속 문을 열고, 기존 관측소들의 감도도 높아진다. 이형목 교수는 쏟아지는 신호로 천문학자들이 고민하는 행복한 상황을 상상했다. “중력파 관측신호가 너무 잦으면 전자기파 관측학자들이 피곤해 할 수도 있죠. ‘중력파 나오는 것만 계속 보라는 거냐’는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감염된 오가노이드는 정상보다 뉴런을 적게 만들었고 조직의 크기도 작아졌다. 이미 알려진 대로 임신 초기에 가장 치명적이었으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졌던 임신 중기에도 바이러스의 영향을 받았다.UC샌디에이고 연구팀은 조금 더 범위를 좁혔다. 이들은 미니 뇌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국 과학계에 어떤 의미인가.A : 세계적인 기초과학 연구 성과들은 주로 외국 연구진이 주도해 왔다. 국내 연구자가 참여하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역할이 제한적이었다. 아이디어가 있어도 시설이 없기 때문에 해외에 요청을 해야 연구할 수 있었다. 나도 그런 이유 때문에 일본에서 오랫동안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