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3월, 새싹이 돋아나는 계절이다. 여기 아직 ‘청춘’이라 불리기엔 새싹 같은 10대들이 있다. 바로 청춘 못지않은 열정과 패기로 똘똘 뭉친 ‘2015 태국 ... 탐사를 가고 싶다는 마음이 생겼다면, 꼭 도전해 보세요! 사진으로만 보던 나라와 문화를 직접 만나게 되는 ‘보상’이 주어지니까요 ... ...
- [생활] 수학을 알면 야구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겨울 있었던 선수 이동을 종합해 2015년 프로야구 순위를 예측해 보자.피타고리안 승률을 직접 구해보자피타고리안 승률 = $\frac{득점²}{(득점²+실점²)}$이 공식은 메이저리그에 맞춰 만들어졌기 때문에 우리 현실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그래서 1991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프로야구의 기록을 ... ...
- [참여] 2015 제1차 미래창조과학부 SW 창의캠프 손끝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스토리텔링은 프로그래밍의 기초가 된다. 장면마다 캐릭터와 장애물, 미션 등을 직접 설정해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나가는 과정은 하나의 이야기와 같다.초등부는 먼저 ‘엔트리봇’이라는 보드게임을 하면서 친구와 부모님과 머리를 맞대고 함께 의견을 나누며 문제 해결에 나섰다. 보드게임으로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사연에 수많은 응원 댓글이 달렸다. 3D 프린터용 소프트웨어를 만들면서 취미로 직접 제작도 하던 이 대표는 도움을 주기로 마음먹었다. “제가 아는 지식을 총동원하면 만들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제가 제일 못하는 모델링은 다른 분의 도움을 받았고요.” 그는 미국 미주리주 소재 ... ...
- [과학뉴스] 광합성 하는 달팽이를 소개합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유전자 일부가 달팽이에게 옮겨온 흔적이 관찰된다는 보고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이를 직접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렇게 다른 생물 종간에 유전자가 이동하는 일은 세균에서는 흔히 일어나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생물은 다른 생물에게 유전자를 얻는 방식으로 원하는 형질을 보다 쉽게 ...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고리가 있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있나요? 하지만 그 고리를 사진으로 본 사람과 눈으로 직접 본 사람은 다릅니다. 눈으로 봐야 진짜 있다는 사실을 믿게 됩니다.”그동안 외계행성은 전문가의 영역이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외계행성을 연구하고 있는 김승미 광학 천문본부 책임연구원은 ... ...
- [과학뉴스] 1주일 만에 환자맞춤형 신경줄기세포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줄기세포 제작기술인 ‘직접교차분화’를 성공적으로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직접교차분화는 일종의 ‘지름길 기술’로, 테라토마(종양)를 만들 위험이 있는 전분화능 줄기세포까지 완전히 거슬러 올라가지 않고 중간단계인 신경줄기세포로 체세포를 바로 전환한다.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 ...
- [Hot Issue] 고개 숙인 마린보이, 스테로이드의 유혹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사건이다. 회사의 설립자인 앤서니 보시는 메이저리그 선수들에게 성장 호르몬을 직접 주사했다. 현재 성장호르몬은 세계반 도핑기구(WADA)에서 2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는 금지약물이며, 테스토스테론과 유사한 동화작용 효과가 있다. 당시에는 도핑 테스트에서 성장호르몬을 검출하는 방법이 없었기 ... ...
- [Hot Issue] 2015 프로야구 우승팀은 넥센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남겼다. 이름하여 ‘피타고리안 승률’. 물론 2000년 전에 숨을 거둔 피타고라스 본인이 직접 만든 공식은 아니다. 피타고리안 승률은 세이버매트릭스의 대부 빌 제임스가 만들어낸 접근법으로 실점과 득점만으로 팀의 승률을 예측하는 공식이다. 득점과 실점에 붙은 지수가 원래는 2였기 때문에 ...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반문합니다. 생활과 문화에 대해서라면, 유물의 주인인 사람보다 더 정확히, 직접적으로 말해줄 수 있는 게 세상에 또 있을까요.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신 연구관은 작년,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교수와 함께 ‘호남고고학보’에 흥미로운 논문을 썼습니다. 연구팀은 전북 완주 은하리와 당진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