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하는 순간이 온다는 거예요. 고등학교 성적이 우수한 친구들이 모인 대학교에 가면 그중에서 뛰어난 친구가 있을 테니까요. 그때가 왔을 때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내가 못 할 수도 있구나’라는 사실을 인정할 때가 진짜 시작이라고 생각하거든요.종종 겸허하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 ...
- 퍼즐 마스터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찾아왔지. 퍼즐을 풀 때는 수리력, 공간지각력, 관찰력이 모두 필요하지만, 기초 중의 기초인 논리력이 튼튼해야 더 잘 풀 수 있거든. 논리 퍼즐의 대명사인 스도쿠를 다양한 버전으로 준비했으니 즐겁게 풀어보라고~. 오늘 만난 건 우리 둘만의 비밀이야! (퍼즐 한국창의퍼즐협회 ... ...
- [오일러 프로젝트] 세 자릿수를 곱해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대칭수는? 조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불러일으킨 대칭수를 이번 오일러 프로젝트 4번에서 다룹니다. 세 자릿수를 곱해 만든 수 중 가장 큰 대칭수는 얼마인지 찾아야 하죠. 먼저 세 자릿수 2개를 곱하는 반복문은 ‘for’ 명령어와 ‘range’ 함수를 이용해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수가 대칭수인지 판별하려면 원래 수와 뒤집은 수가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관측 가능한 우주’라는 개념을 사용하지요. 우주의 처음을 설명하는 모형 중 과학자들에게 가장 유력한 것은 빅뱅이론이에요. 이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약 138억 년 전에 폭발한 뒤, 지금도 팽창하고 있어요. 이때 퍼져나온 빛을 조사하면 우주는 138억 광년 정도의 크기로 생각할 수 있어요. ...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새로운 종을 만들어내고 있을 것이다. 다양하게 재조합된 코로나바이러스는 언제든 중간 숙주를 거쳐 인간에게 도달하거나 인간에게 직접 침투해 우리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사스와 메르스, 그리고 이번 코로나19가 그 증거다. 설사 모든 코로나바이러스에 작용하는 범용 백신과 치료제가 ... ...
- 지금이 봄이야! 진짜 계절 알려주는 계절 알리미 생물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알리미 생물종’입니다. 국립공원공단은 2016년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생물종 2만183종 중 딱 50종만 계절 알리미 생물종으로 지정했습니다. 국립공원에서 이들을 만난다면 진짜 계절을 알 수 있는 셈이죠. 어떤 생물들인지 만나볼까요. 단, 겨울에는 생물의 활동이나 변화가 적어 계절 생물종이 따로 ...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즉 퀀텀닷은 원자가 수십~수백 개만으로 이뤄진 덕분에 의도한 파장에 가까운 빛을 집중적으로 방출하고, 그 외의 빛은 적게 방출함으로써 다른 디스플레이의 발광물질보다 더 원색에 가까운 빛을 발할 수 있다. 박 선임연구원은 “현재 기술로 진정한 삼원색을 가장 근접하게 표현하는 건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항공우주 기술 자존심 높인 '나로호 2단 고체엔진'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위해 배치한 트랜스포머 케이스의 몰딩을 보강하는 조치를 취했다. 수많은 부품 중 어느 하나 쉽게 얻어지는 것이 없었다. ‘산 넘어 산’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심지어 로켓을 무상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우리 연구팀이 독자개발을 고집한 이유는 하나였다. 나로호에 적용되는 수많은 ... ...
- [미국유학일기]전공, 교양, 연구까지 소방호스로 쏟아붓는 공부량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그래서 내 연구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고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 캘리포니아공대는 3학기 제도여서 1년에 다양한 수업을 들을 수 있다. 더군다나 한 학년에 250명도 안 되는 작은 학교라 개개인에게 주어지는 기회도 많다. 비록 몸은 힘들지만 졸업 후에 접하기 ...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바로 ‘수평적 유전자 이동(HGT)’이라는 개념이다. 2015년에는 인간의 유전자 2만 개 중 145개가 세균이나 균류, 조류 등에서 넘어온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발표됐다. 이런 수평적 유전자 이동이 속속 발견되면서 계통수에서 서로 멀리 떨어진 가지 사이에 선이 하나 추가돼 이어지기도 했다.이처럼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