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제1저자를 맡았다. 결과를 보면, 돼지사체를 놓자마자 우선 갑각류가 달려들었다. 세점새우와 갑옷바닷가재, 대짜은행게가 가장 활발히 사체를 뜯어먹었다. 내장을 비롯해 부드러운 부위를 다 먹어치웠고 뼈에 분화구처럼 움푹 파인 자국(크레이터 자국)을 남겼다. 식스길상어, 해바라기불가사리, ...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팡! 물풍선이 터진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치는 게임이라면 어떨까요? 이럴 때는 바운딩박스를 육면체로 인지해요. 즉, 꼭짓점 8개와 변 12개가 서로 만나는지 또는 상대 도형 안에 들어가는지 확인합니다.여러분이 좋아하는 게임에는 어떤 충돌 원리가 들어 있나요? 그리고 캐릭터와 아이템이 어떤 모양으로 인지될지 한번 상상해보세요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문제가 되지 않아요.하지만 배터리 충전시간이 2~3시간 걸린다는 점은 도심 주행에서도 단점이 될 수 있어요. 따라서 초소형 전기차의 성능을 결정하는 것은 배터리 효율이지요. 물론 배터리 크기를 크게 하면 더 많은 전기를 저장할 수 있어요. 그러나 전기차에 쓰는 리튬이온배터리는 금속 리튬으로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표의 연령이 최소 250만 년 이하인 ‘젊은’ 지역과, 화산활동으로 추정되는 고열점(hot spot)을 발견했다. 학계에서는 금성의 두꺼운 황산 구름이 이런 화산이 폭발하면서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활화산은 관측된 적이 없다. 아카쓰키가 대기 중 황 화합물의 농도 변화와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수질에 따라서 지문검출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최근 확인했다. 저수지 수심 3m 지점에 담가놓은 칼에서는 7일 이후부터 미생물 오염으로 지문이 선명하게 검출되지 않은 반면 증류수는 14일까지 문제없이 잘 보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의 셜록에 도전하다 수중과학수사PART 1.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하루에 400mg, 임산부는 300mg 이하를 권고하고 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커피전문점에서 마시는 커피 외에도 카페인이 든 음식이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콜라 한 캔에는 35mg, 커피 믹스 한 봉에는 50mg, 초콜릿바에는 30mg, 에너지 음료에는 50~90mg의 카페인이 들어 있다.카페인에 대한 두려움 ... ...
-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약물의 장점은 원형 탈모와 안드로겐성 탈모 등 다양한 탈모 증상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또 DHT 생성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성기능 관련 부작용에서도 자유롭다. 이 때문에 탈모인들이 모이는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이들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현재 두 약물은 ... ...
- [수학뉴스] 초콜릿 분수에 수학이?!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이 때 일직선으로 뚝 떨어지지 않고 안쪽으로 말려서 흘러내립니다.타운센드는 점성을 가진 흐르는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이 원리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주요 원인은 표면장력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있는 지지대가 모두 평행하게 보이는 위치를 찾아야만 신기한 미끄럼틀을 볼 수 있다는 점 잊지 마세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눈을 속이는 착시 설계자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사진 제공 및 도움 : 커트 베너, 데이비드 맥도날드, 이스트반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확률 P(A∩B)=26/37 이 미혼일 확률 P(A)= 7/37 과 전문직 여성일 확률 P(B)= 4/37보다 훨씬 크다는 점입니다. A 교집합 B는 두 집합 A와 B에 공통으로 속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P(A∩B)가 P(A)나 P(B)보다 절대 클 수 없지요. 착각이 부른 이야기 짓기 오류왜 이런 결과가 나타난 걸까요? 전혀 상관없는 두 사건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