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특정 도시에 소행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영화 ‘스타쉽 트루퍼스’에서는 은하계
반대
쪽의 지능을 가진 곤충들이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 지구를 공격한다.1백년 전만 해도 남극은 모험가들의 꿈과 동경 이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지금의 남극은 각종 자원의 보물창고로 주목받고 있다. 많은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이면 선은 파장이 긴 붉은색 쪽으로 이동하고(적색이동)
반대
로 우리에게 가까워지는 쪽으로 움직이면 선은 파장이 짧은 파란색 쪽으로 이동하는데(청색이동), 이 현상을 도플러 효과라고 한다. 만일 별이 행성을 지닌다면 그 행성이 별의 주위를 움직일 때, 별도 역시 미세 ... ...
레이저로 소형 비행기 날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융제’라고 한다. 이때 방출된 원자는 얼마간의 운동량을 갖기 때문에 물체에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같은 값의 운동량이 작용한다.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이 적용된 것이다. 따라서 비행체 표면에 레이저빔에 의해 원자를 잘 방출하는 물질을 묻히면, 방출되는 원자는 일반 비행기에서 분사되는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최근 선명한 화면과 깨끗한 음질을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캠코더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가정의 필수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캠코더의 원리 ... 작아지면 오히려 조작성은 떨어지므로 대략 한손에 들어오는 정도까지 발전할 전망이다.
반대
로 화소수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그리고 남빙양의 표층과 저층의 해수 순환은 기후와 수산업에 영향을 미친다.이와는
반대
로 남극은 문명세계의 영향이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는 곳으로, 지구의 건강을 감시하는 일종의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 가장 대표인 예가 우리가 잘 아는 오존층에 생기는 구멍이다. 오존층은 지상 20-25km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한다. 여기에는 전체에서 부분으로 정보의 일방통행이 있을 뿐이다.아쿠아리움의 설계는
반대
방식으로 이뤄진다. 전체에 대한 규정은 없으며 각각의 물고기들이 다른 물고기에 대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만을 규정한다. 즉 다른 개체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규칙과 대열을 이루고 있는 같은 ... ...
내 휴대폰 외국에서도 잘 터진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용해 기지국에 보내는 주파수(송신)로 나눠진다. 한국과 일본은 송수신 주파수를 서로
반대
로 사용하고 있다.국내의 경우 SK텔레콤은 8백25-8백50MHz를 수신 주파수로 사용하고 있다. 8백70-8백94MHz대를 송신 주파수로 이용한다. 일본의 경우는 거꾸로 돼 있다. 한국의 송신 주파수가 일본은 수신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환원헤모글로빈의 흡수도보다 낮다. 눈에 보이지 않은 근적외선의 빛인 9백40nm에서는
반대
로 산화헤모글로빈의 흡수도가 환원헤모글로빈보다 높다. 따라서 이 두가지의 빛을 손톱에서 비춰서 투과된 빛의 비율을 구하면 산화와 환원의 비율인 산소포화도(%)를 구할 수 있다(그림).혈액 속의 ... ...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위한 것으로 보지 않는다. 쌀이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 먹는 곡물이라지만 이 말은
반대
로 밀, 보리, 옥수수 등 다른 절반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왜 다른 곡물을 제쳐두고 벼 게놈을 먼저 해독했을까.그 이유는 바로 벼 게놈이 모든 곡물의 유전자 구조를 밝혀주는 만능열쇠이자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넘거나 그에 육박하는 집중폭우가 내린 적만 1984년 이후 17년 동안 5차례나 있었다.그러나
반대
주장도 만만치 않다. 한 댐 전문가는 “금강산댐이 무너지더라도 물이 퍼져 확산되게 돼 그 파괴력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라며 “평화의댐만으로도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남북한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