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내가 해결해 볼게요! 크기가 2배인 제단을 만드는 것이라면, 신전에 있는 정육면체 모양의 제단을 2개 붙이면 되는 거 아닌가요?”문제를 잘못 푼 모습을 본 아폴로 신은 오히려 더 화가 났다. 아폴로 신은 사람들에게 다시 문제를 풀라고 말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또 다른 사람이 나섰다.“이렇게 ... ...
- [교과연계수업] 새학기, 착한 학용품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소파와 옷이 필통으로 변신! 아래 사진에 있는 필통과 가방을 주목해 주세요~. 색깔이나 모양이 화려하지 않고 심플해서 어떤 사람이 써도 잘 어울릴 만한 제품이죠? 그런데 놀라운 건 가방, 필통 전부 다 버리는 소파와 옷으로 만들었다는 사실! 사진에 있는 필통이나 가방, 주머니는 찢어지거나 ...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호떡을 찍어놓듯이 완벽에 가까운 원형의 칼데라를 보유한 화산도 있다. 진드기 벌레 모양으로 칼데라와 그 주변의 화산체에 가지가 형성된 듯 보이는 화산도 관찰된다.화성은 지구 크기의 절반 정도지만 화성에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인 ‘올림푸스 화산’이 있다. 이 화산은 에베레스트 산 ... ...
- 비커 속에서 꽃이 폈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축제 때 과학 동아리에서 단골로 보여주는 ‘물유리 실험’. 물유리라고 부르는 규산나트륨 수용액에 금속염을 넣으면 규산염이 자라 ... 수도, 꽃잎처럼 넓게 만들 수도 있었다.이번 연구는 ‘사이언스’ 5월 17일자에 다양한 모양의 구조물 사진과 함께 발표됐으며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 ...
- 숫자만 인지하는 뇌 부위 발견수학동아 l2013년 06호
- 결과가 나왔다. 즉, 이 영역은 오직 숫자를 보았을 때만 크게 반응하고, 숫자와 비슷한 모양이나 수를 뜻하는 다른 표기를 보아도 잘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파르비치 교수는 “이번 연구가 우리 뇌에 숫자 정보 처리만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신경 세포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을 처음 밝힌 ... ...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아빠, 엉덩이 아파 죽겠어요. 잠시 쉬었다 가면 안 돼요?”“꽃들도 구경할 겸 잠깐 쉬자꾸나. 그런데 말이야. 타이어 회사에서 왜 원 모 ... 기하학에서 한 내각의 크기인 108°보다 크다.이처럼 정폭도형과 구면 다각형은 그 모양은 비슷하지만 수학적 성질과 두 도형을 그리는 법이 다르다 ... ...
- 수학으로 가상과 현실을 자유롭게 넘나든다!수학동아 l2013년 06호
- 2차원 사진 속 버즈를 3차원 좌표 위에 올려놓으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버즈를 삼각형 모양으로 잘게 쪼개서 위치정보를 ($x, y, z$) 꼴로 저장하죠. 물론 실제로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더 복잡하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함수를 이용해 버즈의 관절 움직임을 계산하는 거예요. 이때 ‘기울기’를 주요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내려 지름 5km의 칼데라가 형성됐다. 본래 백두산 화산의 해발고도는 3500m로, 화산체 모양도 꼭대기가 살아있는 원추형이었지만, 상부가 무너지면서 높이 2750m의 칼데라 화산체인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백두산은 이후에도 26번 이상 분화했다. 백두산 분화에 대한 마지막 기록은 1903년, 1925년이다 ... ...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플랫랜드(Flatland, 1884년)’는 제목이 의미하듯 평평한(flat) 세계(land), 즉 2차원 평면세계를 다룬 소설이다. 1부는 플랫랜드에 살고 있는 평면도형 자체에 대한 설명, 그리 ... 개선문 크기의 두 배다. 4차원 초다면체들은 상상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지만, 아름다운 대칭 모양이다 ...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움직임이나 열 발산을 측정해서 추정합니다. ‘얼마나 크게’는 3D로 측정한 화산의 모양, 국지적인 중력 변화, 분출되는 이산화황 가스의 양 등으로 추정하고요.”용암이 분출해 지형이 바뀌면 매번 지형도를 새로 그려야 한다. 다음에 용암이 분출했을 때 흘러내릴 경로를 예상하는 데 필요하기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