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밀림 속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인공위성을 이용하면 숨겨진 유적을 찾는 건 누워서 떡먹기일 것 같군. 어? 인공위성이 발견하지 못하는 유적도 있다고? 그럼 그럴 땐 어떻게 하지? 레이저로 밀림 속 유적을 발견한다?!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동남아시아 등의 밀림은 수많은 나무가 빽빽하게 땅을 가리고 있어요. 그래서 위 ... ...
- 제한시간 안에 막힌 방에서 탈출하라! 수학자 저택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째깍째깍”. 시간이 흐르는 소리가 좁은 방을 감돌았다. 수학 수수께끼를 좋아하는 사람을 초청한다는 기묘한 초대장을 받은 우리는 지금 낯선 방에 갇혀있다. 들어왔던 문은 도무지 열리지 않고 도움을 요청해도 밖에서는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방을 둘러보니 낌새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풀어야 한다는 게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을 지나는 것 같았어요. 김미란 교수: 대학교 1학년까지는 괜찮았는데, 그 이후에 해석학, 대수학, 기하학을 배우면서 힘들었어요. 그 전에는 단편적인 개념을 통해 문제를 푸는 게 전부였기 때문에 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고 서로 연결하고 확장하는 ... ...
- Part 2. 그로텐디크의 대수학 강의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지금은 한 해 수백 명이 오고가는 연구소지만, 처음 연구소를 설립할 때는 교수가 4명뿐이었습니다. 그중 한 명은 1966년 필즈상을 수상한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교수였습니다. 그로텐디크 교수는 IHÉS에서 대수학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세미나는 관심 있는 모든 사람에게 열어 뒀습니다. ... ...
- Part 4. 프랑스, 수학의 성지가 된 비결?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어셔 책임연구원은 “학교를 막 졸업한 젊은 인재들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도록 대학교와 연구기관들의 협력 관계가 잘 이뤄진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예술의 도시에서 수학을 만나다. 파리의 수학자들Part 1. 신선들이 모이는 곳, IHÉSPart 2. ... ...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수학과 교수는 포스텍 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시카고캠퍼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부호론과 암호론,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 ...
- [Issue] 대구 덮친 과불화화합물 공포과학동아 l2018년 08호
- POPs)로 지정해 법적으로 생산과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학계에서는 과불화화합물이 암이나 치매, 당뇨 등의 발병은 물론, 갑상선호르몬 등 호르몬 교란에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 추적조사가 필요하다”며 “예를 들어 일부 ... ...
- 이윤주 한성과학고 입학홍보부장 - “성패보다 성장 꿈꿔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진로 및 진학 지도 또한 이공계 위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한성과학고는 대학과 연계한 AP 교육과정과 함께 다양한 창의연구(R&E)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학생들이 학업과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학습과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첨단 기자재를 지원하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로봇과 소프트로봇 등 그동안 연구실에서 개발한 로봇들을 모두 볼 수 있어요.”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석준 연구원을 따라 연구소로 들어서자 가장 먼저 오른편에 있는 로봇 전시장이 눈에 띄었어요. 이곳에는 길고 가느다란 다리를 뽐내는 소금쟁이 로봇과 바퀴벌레를 닮은 점프로치, 손에 낄 ... ...
- Part 1. 장애는 연구에 방해가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생을 마감한 호킹 박사의 장례식은 지난 3월 31일, 그가 30년간 일했던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의 한 교회에서 열렸어요. 그는 선배 과학자인 아이작 뉴턴과 찰스 다윈의 곁에 편히 잠들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질문Part 1. 장애는 연구에 방해가 될까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