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3,421건 검색되었습니다.
활발한 기술투자와 연구 한국의
유전
자 산업
과학동아
l
198610
모방단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어두운 견해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실험실에서의
유전
자조작 기술은 어느정도 갖췄으나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개발이 미흡한 것도 국내 기업이 당면해있는 어려움중의 하나라고 지적되고 있다 ... ...
첨단산업시대의 직업 미래를 알아야 성공한다
과학동아
l
198610
가령 미래의 농장을 살펴보면, 경영을 담당하는 것은 농부가 아니라 로보트공학과
유전
자재조합, 컴퓨터 프로그램밍 따위의 기술을 습득한 마술사라고도 일컬을 수 있는 전문가이다. 기계공은 로보트로, 비서는 컴퓨터나 데이터 베이스 전문가로 대체된다. 지저분한 식당에서 즉석요리를 만들어 ... ...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
과학동아
l
198610
같이 간단한 단순행동이라도 뇌의 많은 영역에서 관여하고 있다. 이러한 뇌의 발달은
유전
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고려된다. 출생시 나타나고 있는 기본형태의 뇌구조는 신경돌기들의 급속한 성장, 신경접합부의 형성, 수초의 형성을 경험하고 사춘기가 되면서 저하한다. 이러한 과정들은 ... ...
유한양행 중앙연구소
과학동아
l
198609
이러한 개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중앙연구소는 합성연구실 제제연구실 발효연구실
유전
공학연구실 약리연구실 분석정보실 등 6개 연구실을 설치,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갖추고 있다. 국내굴지의 동물실험실 갖춰 이중 특색있는 곳은 약리연구실. 약효를 검사하기 위해 각종 기기 외에도 ... ...
진화하는 색채감각
과학동아
l
198609
원숭이는 2개 밖에 없다. '네이던즈' 박사에 의하면 1천만년 이상 오래된 옛날 색채감각
유전
자를 하나 여분으로 가진 원숭이가 태어나 그것이 진화하여 다른 하나의 색을 볼수있게 되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사람에게도 같은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물론 그러기 까지는 최소한 수백만년 동안에 걸친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09
그렇다면 이같은 생물학적인 기초연구가 잘 돼있는 상태와 그렇지못한 상태에서 각각
유전
공학을 발전시켜 나간다고 했을 때 그 결과가 어떻겠읍니까." 이야기가 발생학에 이르자 김창환박사는 기다렸다는듯이 말을 쏟아놓는다. 일본의 동물학회발표대회에 가보면 논문의 30%는 발생문제를 다루는 ... ...
물질특허의 도입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계기로
과학동아
l
198609
설치하여 민간업계에도 개방하는 한편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유전
공학 센터에
유전
자은행을 설치하고 국립보건원 산하에 생물검정체제를 설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도 기술개발을 부추기기 위한 세제와 금융지원이 요청되지만 기업도 기술개발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해야 할 중대한 시기에 와 ... ...
진화론의 새학설
유전
자 진화론
과학동아
l
198609
자기에게 지정된 활동구역에서 나와 이웃해 있는 몸의 부분으로 이동하고-여기에 그
유전
자는 거기에 원래부터 정해져 있는 파리의 다리 대신에 양분을 흡수하는 관(管)이라든가 촉수 또는 파리의 날개 같은 것을 만들게 하는 것이다. 어떤 배아에서 발전 부분의 수가 보통 때보다 적어져 거의 ... ...
운동선수의 약물중독 왜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609
백명가량에 대해 약물검사를 실시 할 예정이다. 약물검사 실무책임자인 한국과학기술원
유전
공학센터 박종세박사는 "모든 약물을 모두 검출 할수 있도록 시스템을 짜놓았다"고 말하고 로스엔젤레스올림픽때 보다 정밀검출이 능가 할것" 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박종세 박사는 또 "6개월전 복용한 ... ...
광통신(光通信)의 혁명
과학동아
l
198608
당시 빛을 전파하기 위한 도파로(導波路)로는 렌즈배열이나 가스렌즈 배열 박막 도파로
유전
체 도파로 등이 이용되었기 때문에 레이저 광을 먼거리까지 전송하기에는 손실이 너무 컸기 때문이다.그러나 지난 79년 저손실 광 전송로인 광섬유의 개발로 광통신은 제2의 도약기를 맞게 되었다. 광통신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