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교육, 이대로는 안된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더욱 그러하다. 아침 7시부터 밤 10시까지 꼬박 딱딱한 의자에 앉아서 단편적인
지식
을 암기해야 하는 학교공부는 한점이라도 더 따야 하는 입시 준비에는 적절할지 몰라도 창의성을 키워야 하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야 하는 과학학습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정답을 고르는 ... ...
죽음의 사자를 피하는 최신의 무기들-분자치료법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한명이 암으로 이 세상을 하직한다는 계산이 나온다.사람들은 암에 관한 여러가지
지식
과 정보에 접하고 있지만 암을 예방하기 위해서 할수있는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필라델피아시에 있는 '폭스 체이스' 암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응답한 사람가운데 79%나 되는 사람들이 암예방에 ... ...
정보의 홍수와 가뭄을 모두 해결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한다. 한 흥미로운 통계에 따르면 서기 원년부터 현재까지 인류가 창출·축적해 온
지식
의 총량이 곱으로 불어났을 때가 1650년이었고 그것이 다시 곱으로 불어난 해는 1900년, 또 그것이 다시 곱이 된 해는 1950년이었으며, 1960년에는 그것이 다시 곱으로 불어났다고 한다. 즉 인류가 생산해내는 정보의 ... ...
전자·정보·통신 정밀화학을 최우선으로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것이다. 컴퓨터 이용기술인 소프트웨어는 단순소프트웨어의 개발·생산에서 시작,
지식
집약형이 고도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공장을 세운다는 것.통신기술은 2000년까지 선진국수준의 종합정보통신망을 구축한다는 것이다.행정전산망은 우선 정부의 전산망을 추진해 나감으로써 민간기업의 ... ...
AI(인공지능) 비지니스 추진전략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대성황을 이루고 있으며 전자통신연구소에서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운전보조시스템개발,
지식
처리형 컴퓨터 개발사업에 이미 착수했다. 인공지능이란 보고 듣고 시작하는 인간의 지적능력을 수행하는 분야로 자연어처리 시각인식 음성인식 기계번역 등에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정보산업협회가 ... ...
지진·화산폭발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더불어 우리를 더욱 불안케 하는 것은 한반도의 땅속이 도대체 어떻게 생겼는지에 관한
지식
이 전무하다는 사실이다. 김소구교수에 의하면 일본만 해도 지질학적인 연구·조사가 치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는 이 방면의 전문가조차 거의 없는 실정이라는 것. 예를 들어 화산학(volcanology)을 ... ...
민족운동으로 싹튼 과학 저널리즘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흐름에서 밀려나지 않고 치열한 경쟁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과학
지식
과 과학정보에 접근해야 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는 것이다 ... ...
공해연구, 수난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진상을 조사하고 그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려는 노력은 소홀히 한채 어려운 전문
지식
을 동원해 은폐하고 호도하려는 인상을 주고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연구비 지원 적어이밖에 각 대학의 연구실이 있어 종전에는 공해현장의 원인을 조사하여 밝히는등 활발했으나 연구비 지원도 ... ...
체질로 본 한국인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출토될 때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부분으로는 치아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체질인류학의
지식
을 응용해 한국인의 뿌리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고대인의 치아는 다른 어느 부분보다는 확실하고 가시적인 자료가 된다.한반도에서 발견된 우리 조상들의 치아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으며 다른 민족과의 ... ...
유치된 해외 과학 두뇌 제 몫을 하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얼마나 유용하겠는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말하자면 새우의 일반적인 상태에 대한
지식
이 부족한 마당에 새우더듬이의 역할을 연구해서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는 이야기다. 그렇다고 해서 기초과학두뇌의 유치가 필요없다는 것은 아니다. 1981년 서독 '키일'대학에서 귀국한 고 철환 박사(서울대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