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교육, 이대로는 안된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더욱 그러하다. 아침 7시부터 밤 10시까지 꼬박 딱딱한 의자에 앉아서 단편적인
지식
을 암기해야 하는 학교공부는 한점이라도 더 따야 하는 입시 준비에는 적절할지 몰라도 창의성을 키워야 하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야 하는 과학학습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정답을 고르는 ... ...
죽음의 사자를 피하는 최신의 무기들-분자치료법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한명이 암으로 이 세상을 하직한다는 계산이 나온다.사람들은 암에 관한 여러가지
지식
과 정보에 접하고 있지만 암을 예방하기 위해서 할수있는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필라델피아시에 있는 '폭스 체이스' 암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응답한 사람가운데 79%나 되는 사람들이 암예방에 ... ...
파인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제3의 산업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파인 세라믹스라는 사실은 과학자뿐 아니라
지식
인에게는 이미 상식이 되다시피 하고 있다.우리는 인류가 사용한 도구의 소재로 문명을 특징짓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다. 석기와 토기 그후 청동기를 거쳐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철기시대, 그리고 석유화학의 ... ...
더 많은 칼슘, 더적은 비타민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년동안 광범한 조사를 해서 최신의 과학에 기초한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말하면서 "과학
지식
은 진보한다. 따라서 영양에 관련된 추천량이나 종류도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현재 미국인은 비타민에 대한 맹신으로 과다한 비타민을 섭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즉 오렌지 몇조각이면 6 ... ...
대덕연구단지 첨단 과학기술의 메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23개나 된다.이들중 특히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87년말 준공될 종합과학관. 발전하는 과학
지식
의 전파와 과학의 대중화를 위한 과학교육의 매체로서 활용될 예정이다. 주요시설로는 상설전시관 특별전시실 천체과학실 옥외전시장 노천극장이 손꼽히는데, 상설전시실에는 자연과학 및 산업기술 ... ...
지진·화산폭발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더불어 우리를 더욱 불안케 하는 것은 한반도의 땅속이 도대체 어떻게 생겼는지에 관한
지식
이 전무하다는 사실이다. 김소구교수에 의하면 일본만 해도 지질학적인 연구·조사가 치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는 이 방면의 전문가조차 거의 없는 실정이라는 것. 예를 들어 화산학(volcanology)을 ... ...
첫 신입생 뽑은 한국과학기술대학(KIT)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그러나 레이맨(문외한)은 깊고 넓게 생각하는 지혜가 있다. 보통사람의 지혜는 과학자의
지식
을 보충해 줄수 있다" 과학기술대학이 종합적 전인적 영재를 육성하는데 성공하기를 많은 사람들은 기대하고 있다.서독기술협력단의 에른스트 쉴링박사현장지도에 역점 둘터한국과학기술대학에는 ... ...
'에너지와 정보산업 가장 시급'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김영식: 지금 말씀하신 분야의 인력부족이 우리나라 과학기술교육이 전문분야의
지식
전달 위주였기때문이 아닐까요?김성진: 그런 면도 물론 있읍니다.김영식: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은 과기처의 소관이기도 합니다만 큰 부분이 대학에서 수행되고 있읍니다. 대학이 문교부 소관이기 때문에 ... ...
체질로 본 한국인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출토될 때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부분으로는 치아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체질인류학의
지식
을 응용해 한국인의 뿌리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고대인의 치아는 다른 어느 부분보다는 확실하고 가시적인 자료가 된다.한반도에서 발견된 우리 조상들의 치아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으며 다른 민족과의 ... ...
유치된 해외 과학 두뇌 제 몫을 하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얼마나 유용하겠는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말하자면 새우의 일반적인 상태에 대한
지식
이 부족한 마당에 새우더듬이의 역할을 연구해서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는 이야기다. 그렇다고 해서 기초과학두뇌의 유치가 필요없다는 것은 아니다. 1981년 서독 '키일'대학에서 귀국한 고 철환 박사(서울대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