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서해안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일확천금의 꿈을 안은 사람들이 쇄도했고 멀리 태평양을 건너 오스트레일리아나
중국
에서 달려온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샌프란시스코의 경우는 1천명 남짓하던 인구가 1년사이에 40배나 되었다. 이런 사람들이 잡다한 문화를 이식하여 동부와는 다른 와일드한 대중문화가 뿌리를 내렸다.이 때의 ... ...
추진과 포기의 갈림길에 선 각국의 원전 건설계획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위하여 '차이나신드롬'(China-Syndrom,미국에서 원전의 노심용융이 일어나면 지구반대편의
중국
인이 깜짝 놀란다는 공상 과학영화에서 나온 말)이라는 비유가 생겨났는지도 모른다.그리고 또 프랑스는 그 계획단계에서 벌써 독일인들에게 쇼크를 주었던 악명높은 핵재처리 공장을 가지고 있다. 이 북부 ... ...
PART 2 한강수계 총점검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집중호우로 대홍수 우려한반도는 아시아대륙에서 남북으로 빠져있는 반도이고,
중국
대륙과 일본열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 기후는 대륙과 해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4계절이 명백하고 인간이 사는데 있어서 아주 좋은 기후이다.우리나라의 연간평균강우량은1천1백㎜정도이나 한강유역은 ... ...
세계의 대사막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있어 1년중 강한 햇살이 내려쪼이고 비는 극히 적다.표류하는 호수 로브노르(Lob-Nor.
중국
신강 위그르 자치구 타림분지 사막에 있는 호수. 주변의 모래언덕이 항상 이동하고 있어 위치와 형상이 끊임없이 변동한다 하여 표류하는 호수라 한다)로 유명한 타클라마칸(Taklamakan. 신강 위그르 자치구의 ... ...
올해의 노벨과학상 8명의 과학자가 영예차지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짓 이라고 생각했다”고 술회했다.유안 체 리대만출신의
중국
계 미국인(49). 대만 출신
중국
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노벨화학상을 받았다.미국 캘리포니아대(버클리)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65년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74년부터 모교의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초기에는 이번에 노벨상을 공동 수상한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밀어올리고 있는 것도 다 해저지층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입니다. 약 2억년 전에는
중국
과 인도는 하나의 대륙이었읍니다.”2억년후 지구의 모습─ 그 당시 지구의 모습은 어떠했읍니까?“지구의 한 부분은 전부 대륙이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바다였읍니다. 대륙도 하나 대양도 하나였읍니다.”─ ... ...
동의보감 편찬한 의성(醫聖) 허준(許浚)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것같다. ‘동의’(東醫)란 물론 ‘한국의학’이란 뜻으로 만든 표현이다. 예로부터
중국
의학에 크게 의존하던 우리 의학은 고려말과 특히 조선초 세종(世宗) 때에 ‘향약’(鄕薬) 운동으로 독자적인 수준을 이루기 시작했다. ‘향약’의 전통을 ‘동의학’으로 높여 우리에게 맞는 우리의 의학을 ... ...
지리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가면 주지스님이 내놓는 차가 있는데 빚깔도 홍차와 꼭 같고 향기가 높다. 이것은
중국
당나라에 유학갔던 김대렴스님이 서기 828년에 그곳에서 씨를 갖다가 지리산에 심은 것이라고 한다. 봄에 어린 잎을 따서 말려두고 차를 달여서 손님을 대접한다.지리산의 짐승과 새들지리산의 야생동물은 ... ...
제주도의 화산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약 1백70개소, 일본의 후지산(富土山) 지역에 약 1백개소, 그리고 우리나라 제주도와
중국
동북쪽의 만주지역 등 몇군데 지역에서만 집중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 제주도에서는 여태까지 약 60개소의 화산동굴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것이 모두 좁은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어 그 분포밀도가 세계적이다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학술지에 보고한 것이 있다고 하나, 입수된 자료가 없어 유감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중국
의 조류학자들에 의해(비록 백두산 북사면 중공땅인 장백산 일대의 조류에 관한 것이긴 하지만) 지난 30여년간에 걸친 조사와 연구가 상세히 수립된 단행본이 최근 간행되었기에 그의 전모를 알 수 있게 되어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