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사 50주년기념, 최고의 명장면 50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있었지.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우주를 향해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어. 지금은 2020년까지
인간
을 다시 달로 보내고 달을 기지삼아화성을탐사할계획을진행중이란다.‘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나사를 빛낸 우주인과 과학자들을 만나 보면서 우주에 대한 꿈을 키워 보렴! 피닉스를 만든 기술자 빌리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멸종되는 생물도 있을 거야. 이 때문에라도 우리는 주변의 생물에 관심을 가져야 해.
인간
때문에 멸종 위기에 놓인 생물을 찾아 보호하는 것은 자연에 대한 우리의 의무거든. 친구들도 지금부터 주변의 생물을 세심하게 관찰해 봐. 혹시 아니? 신종 생물을 발견해 멸종 위기의 생물을 구하고 자기 ... ...
순간포착 과학으로 더 빛나는 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선수는 0.1초 이내에 셔틀콕을 받아 내야 한다. 그러나‘푸와의 과학올림픽’에 나왔듯
인간
의 반응 시간은 최소 0.1초이므로 셔틀콕을 보고 받아 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선수들은 상대방의 동작이나 시선을 보고 공격 방향을 예측해 미리 수비 동작을 취하는 것이다.힘만 세다고 ... ...
월•E 가 밝히는 지구의 미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로봇으로, 수성은 태양빛을 받는 부분의 온도가 340℃가 넘는 뜨거운 행성이다. 즉
인간
은 가까이 다가갈 수도 없는 곳이다. 메신저는 지난 1월 수성에서 200㎞ 떨어진 곳에서 비행하는 데 성공해 수성에 대한 자료를 지구로 계속 보내고있다 ... ...
푸와의 과학올림픽, 금메달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종목의 기록을 재려면 순간의 동작도 정확하게 잴 수 있는 측정 기술이 필수거든. 우리가
인간
의 한계에 도전하는 가슴 벅찬 순간을 만끽할 수 있는 것도 다 이런 측정 기술 덕분이라구!2000분의 1초까지 잡는다!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사람인 자메이카의 우사인 볼트 선수의 100m 달리기 기록은 9초72. ... ...
우주복 패션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위기 상황 대처 능력 등을 갖춘 우주인이 양성됐다.아폴로 계획 우주복아폴로 계획은
인간
을 달에 착륙시킨 뒤 무사히 지구로 귀환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던 유인 우주비행 탐사 계획이다. 아폴로 계획의 우주복은 우주복 역사상 가장 어려운 도전 중 하나였다. 달의 중력에서 우주인이 움직일 수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동물성 사료가 금지된 뒤 광우병의 발생은 줄어들었다. 하지만 광우병 소고기를 먹은 뒤
인간
광우병이 발생하기까지의 기간이 길고, 원인물질인 변형 프리온이 잘 파괴되지 않는다는 점은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을 두려움에 떨게 한다. 음…. 그런 일이 있었다니. 혹시 다른 이유는 없는 건가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있다. 아프리카 깊숙한 곳 원숭이 사회에서만 있던 에이즈바이러스나 에볼라바이러스가
인간
사회에 들어와서는 핵폭탄보다 무서운 결과를 야기한다는 사실은 모두 잘 알고 있으리라.방법은 하나다. 미리 준비하고 꾸준히 감시해 제2의 스페인독감, 제2의 천연두가 뚫고 들어올 틈을 내주지 않는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시력을 잃은 사람이 한순간에 눈을 떠 앞을 보는 일은 의학적으로 불가능하다.
인간
의 망막은 생후 수개월 이내에 시세포에 빛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퇴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기의 망막에 잘 생기는 신경모세포종의 경우 너무 늦게 발견하면 암 덩어리를 제거해도 시력을 되찾지 못한다. 다만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주는 쾌락흔히 도덕과 윤리는
인간
만이 갖고 있는 특성이라고 얘기한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
에게는 특유의 사회적 행위가 있다. 사람들은 흔히 도덕적 믿음에 기초해 자신의 물질적 이득을 기꺼이 희생하는 자선기부 행위를 한다. 뇌는 왜 윤리적인 선택을 하는 걸까?미국 국립보건원 조단 그라프만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