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d라이브러리
"
분석
"(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아예 불가능한 걸음걸이입니다.하지만 제가 누굽니까. 만화 캐릭터들의 보행 패턴을
분석
한 뒤에, 이것들의 발바닥이 지면과 평평할 때 다리를 어떻게 움직일지 역으로 계산했습니다. 동시에 로봇의 ZMP(무게 중심에 작용하는 모든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는 지점)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 ...
여왕벌 죽이는 일벌의 반란, 이유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미국 UC리버사이드 케빈 루프 교수팀은 땅말벌의 행동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유전자를
분석
했다. 그 결과 일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유전적 비율에 따라 행동을 달리했다. 같은 부모에서 태어난 완전형제(full-sibling)의 비율이 부모 중 한쪽만 같은 반형제(half-sibling)의 비율보다 높아졌을 때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NASA) 등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러브조이 혜성(학명 C/2014 Q2)’의 대기를
분석
했다. 러브조이는 작년 8월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가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혜성으로, 올해 1월 30일께 8000년 만에 태양 근처를 지나며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냈다.
분석
결과 러브조이 혜성에서는 총 21종류의 분자가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굳이 유방을 절제하지 않아도 될지 모른다.명 교수는 NIH 재직 시절 약 30만 개의 화합물을
분석
해, 암세포의 DNA 복구 과정을 막아서 암세포를 죽이는 후보물질을 300개 정도로 압축했다. 그는 “특히 대장암과 유방암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찾았다”며 “향후 제브라피쉬와 실험쥐 등에서 이 물질이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주저하지 않고 목숨을 바치기도 한다. 물론 아직까지 신드롬 E와 신념에 관한 뇌과학적
분석
이 없기 때문에 신념이 신드롬 E의 스위치인지는 모른다. 다만 유력한 후보 중 하나로 짐작만 할 뿐이다.만약 추가적인 연구로 우리가 악이 탄생하는 메커니즘을 알아낸다면 테러를 막아낼 수 있을까. 프리드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여기에는 미국 대학원협의회(CGS)의 역할이 크다. CGS에선 미국 전체 대학원의 정보를
분석
한 책을 매년 발간하고 있다.이우창 서울대 대학원 총학생회 고등교육 전문위원은 “정보공개가 되면 문제 있는 연구환경을 학생들이 피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랩에 대한 교수진의 책임감이 지금보다 커질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맛을 내는 캡사이신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매운맛과 파킨슨병 치료효과의 연관성을
분석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뇌질환 연구뿐 아니라 종양 연구 등 여러 분야의 논문을 읽고 실험해 본 것이 큰 도움이 됐다.Q 가설을 어떻게 검증했나실험쥐를 파킨슨병에 걸리게 한 뒤에 캡사이신을 주사한 ... ...
알록달록~! 걸음걸이를 알려 주는 신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연구팀은 앞으로 수십 개의 촉각센서가 달린 신발을 만들어 더 정확하게 걸음걸이를
분석
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김종호 책임연구원은 “신발 업체와 협력해 상용화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걸음이 불편한 중풍 환자와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고리포터가 밝히는 햄 기사의 진실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수 있을까요?지난 2011년,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보건대 도리스 찬 교수도 9개 논문을
분석
했습니다. 찬 교수는 상대적 위험률 1.18과 함께 (1.10~1.28)이라는 신뢰구간도 구했습니다. 만약 모든 사람의 대장암 발병률 변화를 구한다면 가공육 섭취로 인한 증가량이 아마 10%에서 28%사이라는 뜻입니다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추가 연구를 토대로 전방대상피질에 생긴 문제가 편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분석
했다. 정상적으로 활성화돼야 할 뇌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으면서 다른 부위(편도체)가 극도로 예민해져 감정이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마지막은 뇌에서 기억과 함께 스트레스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