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사용한 마스크 끈을 반으로 잘라서 버려 주세요. 한번 쓰고 아무렇게나 버린 마스크 때문에 야생동물들이 안전을 위협받고 있어요. 마스크를 먹이로 오해하 ... 마스크를 버릴 땐, 끈을 잘라달라고 부탁했어요.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 캠페인은 SNS등을 타고 전 세계로 퍼지고 있답니다 ... ...
- [만화뉴스] 코로나19, 동물들도 걸릴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5단계로 분류했어요. 그 결과, 침팬지 같은 영장류는 인간과 모두 일치해 가장 위험한 등급에 속했어요. 고양이는 중위험, 개는 저위험, 생쥐는 초저위험 그룹에 속했지요. 연구팀은 “코로나19바이러스가 다른 단백질을 이용했을 수도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 [탐험대학] 만지고, 깎고, 발표하고! 공룡 연구실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알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어요. 박진영 연구원은 “공룡은 생물학과 지질학 등 많은 공부를 해야 연구할 수 있다”며, “학생들이 잘따라와 줘서 고맙다”는 소감을 ... ...
- [가상인터뷰] 세레스, 바다를 품고 있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왜 생겼는지 밝히진 못했어. 그런데 지난 8월 10일, 미국과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국제 연구팀은 이 하얀 물질은 소금 성분이라는 걸 밝혀냈고, 오카토르 크레이터 아래의 바다에서 나온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바다가 있다고? 응. 연구팀은 오카토르 크레이터 아래에 깊이 약 40km,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난민이 발생하기도 했어요.그런데 카친주 산악 지대는 호박은 물론, 질 좋은 옥과 루비 등 다양한 보석의 산지예요. 전쟁이 이어지는 이유 중 하나도 이런 보석을 팔면 막대한 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죠. 국제 분쟁을 전문으로 다루는 이유경 기자는 “카친주의 ‘타나이’ 지역 일대에서 호박이 ... ...
- [한장의 과학] 차별이 담긴 천체 별칭 없앤다! NGC 2392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일부는 특별한 의미를 담아 별칭으로 불렀어요. ‘말머리성운’, ‘반지 은하’ 등이 그 예죠. 이번에 별칭이 없어지는 주인공은 ‘에스키모 성운’으로 알려진 ‘NGC 2392’ 성운과 ‘샴쌍둥이 은하’로 알려진 ‘NGC 4567’, ‘NGC 4568’이에요. NASA는 앞으로 이 천체들은 공식 명칭만 사용하기로 ... ...
- 우주 개척 시대의 열쇠는 민간 기업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주도하는 우주 개발은 국민 전체에 혜택이 돌아가는 게 우선이에요. 국방, 과학 연구 등이 대표적인 예죠. 하지만 민간 기업의 경우, 고객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에요. 예를 들어 우주 관광은 국민 전체를 위한 건 아니지만, 이를 원하는 고객들은 분명히 있어요. 따라서 국가와 ... ...
- [탐험대학] 로켓, 키네틱아트, 인공위성 집중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양옆으로 흔들리거나 뒤집힐 수도 있어요. 따라서 로켓이 똑바로 날아가려면 날개에 균등한 힘이 가해져야 해요.”7월 18일, 탐험대학 로켓 팀이 집중탐험을 하려고 모였어요. 신동윤 멘토는 학생들에게 로켓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며 날개를 정확한 각도로 부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했지요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혈소판, 지시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나 과학마녀 일리! 오랫동안 이어진 장마가 끝나고, 오랜만에 야외활동으로 하러 밖에 나왔어! 앗! 그런데 신난 나머지 뛰어놀다 넘어졌어. 무릎에서 피가 철철 흐르는데 ... 따라 변하는 산화·환원 지시약, 침전이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사용하는 흡착 지시약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답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 라이브 show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탐사 화력을 집중했기 때문이죠. 개나리 데이를 시작으로 직박구리 데이, 거미 데이 등 총 10건의 온라인 탐사데이를 거치며, 올해 4월부터 7월까지 약 4개월간 총 1만 2866건의 탐사기록이 올라왔어요. 대원들이 올려준 탐사기록은 각 생물종 연구자들이 내려받아 연구 논문 자료로 쓰일 예정이에요. ... ...
이전3323333343353363373383393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