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호주의 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많이 살아남을 수 있었단다!”그렇구나~, 호주의 보물은 바로 호주에만 사는
동물
들이었어! 하지만 이런 보물들이 인간과 함께 호주로 온 포유류들 때문에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해. 호주의 보물들이 영원히 사라지지 않도록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많은 관심 가져 주길 부탁해~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돌려 살펴보자.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모든 것이 움직인다. 그리고 변한다. 식물과
동물
은 태어나고 성장하다가 죽는다. 날씨도 변하고 계절도 변한다. 움직이지 않는 것 같은 거대한 빌딩도 초속 약 30km의 속도로 태양을 도는 지구 위에 있으므로 사실은 움직이고 있는 셈이다.자연만 움직이는 ... ...
인류의 희로애락 품은 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단군신화의 곰처럼 직접적인 조상으로 믿거나 조상과 관련이 있다고 여기는 토템
동물
의 탈이다. 풍요제의탈은 제주도의 입춘굿에서 긴 염이 달린 붉은 색 탈을 쓴 농부가 씨앗을 뿌리면 새가 쪼아 먹고, 그 새를 포수가 쏘아 죽이는 것과 같이 풍요다산을 비는 탈이다. 의술탈은 제주도 도깨비영감의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인도수학의 역사를 소개했다. 공작은 인도의 국조이고 뱀은 힌두교에서 숭배하는
동물
로 수학자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다. 인도는 라마누잔을 비롯한 뛰어난 수학자를 많이 배출했고 기원전부터 대수학과 기하학이 발전했다. 숫자 ‘0’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이번 대회 필즈상은 이스라엘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녹색 올챙이' 적 기억 못하는 붉은점영원울긋불긋 아름다운 단풍잎이 쌓여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진 안에는 용의자인 '붉은점영원'이 숨어 있다. 도마뱀과 외모가 비슷해 보여도 사실은 양서류다. 어미가 연못에 알을 낳으면 올챙이처럼 몸이 통통하고 꼬리가 긴 새끼들이 깨어난다. 몸은 녹갈색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학생은 소수에 불과하다.체벌이 나쁜 행동의 빈도를 줄이는 데는 효과가 있지만, 그것은
동물
실험처럼 완벽하게 통제된 환경에서만 가능하다. 인간 사회에서는 체벌의 부작용으로 도피와 회피 행동이 나타난다. 학생들은 체벌을 피하기 위해 거짓말과 같은 요령을 배운다. 체벌의 기준이 일정하지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어 뇌 회로를 조작하기가 훨씬 쉬워요. 초파리의 뇌 회로를 이해하면 다른 곤충이나
동물
, 사람의 뇌도 쉽게 알 수 있죠.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을 읽기 전에 ‘이솝우화’부터 시작해 책 읽는 요령을 배우는 거죠.”그렇다면 왜 하필 짝짓기 행동을 연구하는 걸까. 김 교수는 “뇌 회로를 ... ...
When Animals Think and Talk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러한 행위들이 도덕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가? 아마도 우리가
동물
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시점이 온 것인지도 모른다. 본고는 타임-워너사의 기사를 기초로 국내 학생들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대폭 수정하고 재편집한 글입니다 ... ...
해양
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모습이 보였어. 그제서야 우리는 부산아쿠아리움이 국토해양부가 지정한 ‘해양
동물
보전센터’라는 사실을 떠올렸지. 그리고 작년 10월 5일, 한 마리의 푸른바다거북 ‘은북이’를 바다로 돌려보낸 사실도….은북이는 2년 전인 2008년 6월 거제도에서 발견됐어. 이후 국립수산과학원과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부드럽게 코너링를 돈다. 엎치락뒤치락하는가 싶더니 순식간에 순위가 바뀌어 있다.
동물
적인 운전 감각을 지닌 드라이버들이지만 불가피하게 사고가 나는 경우가 있다. 균형을 잃고 미끄러진 머신은 벽을 들이 받고 산산조각 난다. 과연 운전자는 안전할까. 놀랍게도 부품들이 산산조각 날만큼 큰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