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09
1990년 유서프 빌라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로버트 스캔란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
미국
물리학회지’에 타코마 다리의 붕괴 원인이 공진이 아니라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학생들이 보는 교과서에 공진의 사례로 타코마 다리가 들어간 게 오류라고 주장했다.먼저 공진이 일어나기 위해 ... ...
몸이 차면 뚱뚱할까?
과학동아
l
201109
같은 양을 먹어도 더 살찌는 사람이 있을까.
미국
남캐롤라이나대 심리학과 로베르토 리피네티 교수팀은 낮은 체온이 비만의 원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리피네티 교수팀은 개 287마리의 직장(直腸) 온도를 측정했다. 개들은 다양한 종에 몸집 크기도 다양했다.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09
따라서 과학자들은 우주먼지를 채집하려고 시도해왔는데 가장 유명한 프로젝트가 바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진행한 ‘스타더스트(Stardust)’ 미션이다.1999년 2월 8일 발사된 탐사선은 빌트2(Wild 2)로 불리는 혜성에 접근해 우주먼지를 채취해오는 임무를 맡았다. 스타더스트호는 5년 가까이 날아가 ... ...
내 얼굴에 꼭 맞는 안경 찾기
과학동아
l
201109
선택하는 게 좋을지 한번 알아보자. 미인의 얼굴에는 황금 비율이 있다. 2009년 12월
미국
샌디에고 캘리포니아대와 캐나다 토론토대 공동 연구팀은 현대 미인의 얼굴을 결정짓는 비율을 발표했다. 여성의 얼굴은 눈과 입 사이의 수직 거리가 전체 얼굴 길이의 36%, 눈과 눈 사이의 수평 거리가 얼굴 ... ...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09
건조하고 객관적인 문체로 탑을 쌓듯 되살린 폴링은 노벨상을 두 개나 받은 영웅이자
미국
의 반공 광풍(메카시즘)에 맞서 반핵을 주장한 거인이다. 하지만 동시에 고집 세고 어머니와의 관계에 미숙한 평범한 사람이기도 했다. 짐짓 어른스레 왓슨과 크릭에게 축하를 건넸지만 ‘놓쳐 버린 세 번째 ... ...
엄마 없는 원숭이 평생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1109
원숭이도 사람과 마찬가지였다.중국 국가중점실험실 뇌인지과학연구소 연구팀은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호에 아기 원숭이가 어미 원숭이와 떨어져 받는 스트레스는 평생 동안 후유증으로 남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어미와 떨어져 자란 원숭이와 어미와 같이 자란 원숭이의 ... ...
뇌 흉내 내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109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로 작동하는 시냅스 회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6월에는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이 쥐의 배아에서 뽑은 뇌세포를 단백질체에 이식해 12초 동안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인공 뇌를 만들었다.지난 8월 18일에는 세계적인 컴퓨터 회사인 IBM이 최초로 사람의 뇌와 비슷한 ... ...
DNA벽돌로 나노 만리장성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09
있는 생체분자인 디옥시리보핵산(줄여서DNA)이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재료로 변신했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명공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우성욱 씨와 지도교수인 폴 로데문트 박사는 DNA 오리가미를 타일로 써서 다양한 2차원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화학’ 8월호에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09
나올 정도로 전문적인 프로그래머가 제작 과정에 깊이 참여한다.6월 23일 방문한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남캘리포니아대(USC) 영화예술학교는 매년 CG 프로그래머와 기술 감독 등 수십 명의 전문 영화 인력을 배출한다. 리처드 와인버그교수는 “드림웍스나 픽사 같은 대형 영화사는 슈퍼컴퓨터를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09
수준이다. 2014년 완공 예정으로, 세계 3번째 4세대 방사광가속기가 될 예정이다. 현재는
미국
과 일본만 완공해 시운전 중이다.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3세대와는 전혀 구조가 다르며, 만들어지는 방사광도 훨씬 우수하다. 김경진 팀장은 “전혀 다른 수준의 방사광이 생긴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