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뉴스
"
보고
"(으)로 총 10,62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백신 교차접종 효과 확인…2회 접종시 변이에도 효능”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대부분이 진행중이거나 미발표 논문이라 한계가 있다”며 “추후 대규모 연구들이 계속
보고
될 예정이어서 신속하게 최신 문헌들을 반영한 연구 결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 ...
"4차 유행 20~30대탓, 방역실패 책임 회피로밖에 안보여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혐오 현상은 더욱 쉽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최근 4차 확산은 20~30대 확진자 비율이 높은 것은 사실이다. 코로나19가 확산세가 반복될 때마다 '활동력이 왕성하다'는 이유로 젊은층이 쉽게 타깃이 됐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체적으로 살펴봤을 때 2 ... ...
[기자의 눈]교차접종에 대한 설득 충분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0세 이상에서 만 50세 이상으로 상향 조정됐다. 일부 백신 접종자에게서 희귀 혈전증이
보고
되면서 접종 연령을 조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1차로 맞은 사람 가운데 50세 미만 연령층 약 85만명이 미국 화이자가 개발한 백신을 2차 접종 때 맞게 됐다. 정부 방침에 따라 ... ...
'아마존의 비명'…동식물 1만여종 멸종 위기·탄소 배출원 전락
연합뉴스
l
2021.07.15
아마존 열대우림의 현 상황을 가장 상세히 평가한 것으로 제시됐다. [AP=연합뉴스]
보고
서는 앞으로 10년 안에 숲 파괴와 산림 황폐화를 완전히 중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정책 제언을 하면서 이미 파괴된 숲을 복원하는 것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브라질대학교의 메르세지스 부스타만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
2021.07.15
제공 ”일단 조사는 할 수 있는 만큼 해야 된다고
보고
요. 왜냐하면 우리나라 교수 사회가 이 문제에 대해서 아직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아요. 예를 들어서 부모하고 추억을 쌓는 문제고 내 자식인데 너무 뛰어났다. 이런 식으로 인터뷰하는 교수들이 대부분이고 잘못했다라고 한 사람이 ... ...
"히스타민 외 피부 가려움증 유발하는 또 다른 물질 확인"
연합뉴스
l
2021.07.15
없는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TRPV3 단백질 발현이 실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지를 알아
보고
자 했다. 그 결과 TRPV3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자극하면 평소 가려움증 관련 질환을 앓지 않더라도 피부에서 중증 이상의 가려움증이 나타났다. 이런 환자에게는 가려움증 치료에 흔히 쓰는 항히스타민제보다 ... ...
'람다 변이' 백신 소용 없고 치명률도 높다는데…과학자들 "근거 못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바이러스의 모습.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지난해 12월 남미 페루에서 처음
보고
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람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파력이 변이 바이러스보다 높고 코로나19 백신을 무력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 ...
방역당국 "감염확산 진원 수도권 4단계 효과 일주일 뒤에야 나타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구간을 지나고, 다음 주부터 변동이 어떤 식으로 전개될지 유심히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수도권에 4단계 거리두기와 같은 고강도 방역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달 말에는 2300명까지 확진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손 반장은 ... ...
[랩큐멘터리]드론기술이 낳은 폐해, 발전된 기술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3D 카메라를 통해 공개된 사진을 통해 사생활이 노출돼 낭패를 겪는 사례가 종종
보고
되고 있다. 연구실은 카메라의 분해능을 의도적으로 낮추고 대신 무선주파수(RF) 기술을 활용해 드론이 장애물을 인식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양 교수는 “드론은 카메라 외에는 사생활 침해요소가 ... ...
"대학 교수 10명 중 4명, 연구부정행위 뭔지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18.7%)’, ‘연구윤리를 위반한 연구자에 대한 강력한 제재(14.4%)’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
서는 “대학 교원들이 인지하는 빈번한 연구윤리 위반 행위로는 연구노트 작성 및 관리 부실, 부당한 저자 표시, 부당한 중복게재 순으로 나타나 연구윤리 위반 행위 예방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