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67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물질이 빛 에너지 고효율로 증폭하는 '광사태현상'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1.01.14
작은 에너지의 빛을 약하게 쏘일 때 내부에서 기존에 관측되지 않던 연쇄 증폭
반응
이 빠르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진은 이런 현상이 눈사태가 일어나는 모습과 비슷하다는 점에 착안해 이 나노입자를 '광사태 나노입자'(ANP : Avalanching Nano ... ...
미 오하이오서 새 변이바이러스 2종 발견…미국에서 생긴 듯
연합뉴스
l
2021.01.14
3개의 유전자 돌연변이 발생한 '콜럼버스 변이'도 [AP=연합뉴스]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새로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 ... 최고과학책임자(CSO)는 "우리가 새 데이터를 얻을 때까지 새 변이에 대해 과민
반응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랩큐멘터리] 화학 연구실에서 탄생한 부드럽고 정교한 인공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1.01.14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얼음사이의 크랙(틈)을
반응
기로 이용해고분자를 만들려고 시도하던 중 우연히 단량체가 코팅된 얼음 표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을 띄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러한 색깔은 단량체가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수준의 고분자로 ... ...
[소재의 미래]⑼ 고압 송전선 감시, 소재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얻는 자기-전기 복합체(ME)를 여기에 활용하기로 했다. 자왜소재는 외부 자기장에
반응
해 소재의 형태가 바뀐다. 압전소재는 형태가 바뀌면 전압을 만들 수 있다. 둘을 결합해 자왜소재의 변형을 압전소재에 전달하면 외부 자기장을 전력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ME 기술은 1970년대 ... ...
셀트리온 "코로나 항체치료제 중증환자 발생률 54%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후 1회 이상
반응
을 경험한 환자 수는 위약군과 투약군이 거의 비슷했고 중대한 이상
반응
을 겪은 환자는 한 명도 보고되지 않아 안전성을 증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12일자(현지시간)로 게재됐다. 13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개최되는 키스톤 심포지아(Keystone ... ...
[CES2021] AMD 리사 수 박사 "젠3 기반 5000 노트북 CPU, RDNA 2 모바일 GPU 출시할 것"
동아닷컴
l
2021.01.13
내용을 담는다. 지난 한해 AMD가 소비자 시장에서 달성한 CPU 점유율과 시장에서의
반응
을 생각하면, 한스 베스트베그나 메리 바라의 연설보다는 더 일반 소비자에 가까운 연설이라 할 수 있다.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그러나 하드웨어가 전부는 아니다 AMD CEO 리사 수 박사는 두 번째로 CES를 진행하게 ... ...
미국서 화이자 백신 맞은 뒤 뇌졸중으로 숨져…美 보건당국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부인은 문자메시지를 통해 “남편은 기저질환이 없었으며 약물이나 백신에 대한
반응
이 없었다”며 “담배를 피우거나 약물을 먹지 않는 건강하고 활동적인 사람이었다”고 밝혔다. 마이클씨의 부인은 페이스북을 통해 “남편은 팬데믹 초기부터 마스크를 착용해 코로나19 감염력이 없었고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2편에서는 이 변이체가 기존 바이러스 보다 전파속도가 빠르고 독성이 강한지, 면역
반응
을 회피하고 백신을 무력화할 가능성이 있는지 등에 대해 좀 더 심화된 차원에서 검토해보고자 한다. ※ 원문 출처 : 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지난해에 이어 사스코로바이러스-2(SARS-CoV-2)의 ... ...
코로나19 백신 접종 간격 연장 두고 의견 갈린 과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1.12
백신의 1, 2차 접종 간격이 한 달 이내였기 때문에 현재 1차 접종만 받은 사람의 면역
반응
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게 없다. 또 1차 접종을 받고 2차 접종을 받기까지 기간이 길어지면 그 사이 항체에 내성이 있는 바이러스 변종이 출현할 수도 있다. 플로리안 크래머 미국 마운트시나이의대 교수는 ... ...
제롬 김 IVI 사무총장 "코로나 백신 용량과 접종 일정 최적화에 과학적 근거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1.12
동안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중화항체 역가란 항체를 희석시켜도 면역
반응
을 보이는 농도로 중화항체 수준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백신 투여 용량과 1·2차 접종 간격에 대한 논란도 언급했다. 현재 모더나 백신은 표준 용량 2회 접종을 2주 간격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