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뉴스
"
가지
"(으)로 총 7,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철천지 원수의 경계는 아주 불분명하고 유동적인데, 미생물과 인간도 마찬
가지
다. 어제의 적이 오늘의 친구가 되는 일은 사회 관계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아무튼 그동안 인류의 오랜 친구를 하나하나 만나보자. 참고자료 Trevathan, et al. Evolutionary Medicine / Edited by Wenda R. ... ...
양자우월성 달성하고 블랙홀 찍고…BBC가 뽑은 올해 대단한 스토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비롯해 올 한 해를 뒤흔든 과학과 환경 분야의 대단한 이야깃거리(big stories) 8
가지
를 선정해 발표했다. 지난 4월 세계 전문가 300여 명으로 이뤄진 국제공동연구팀은 전 세계 6개 대륙 8개의 대형 전파망원경을 연결한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을 이용해 지구로부터 55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메시에 ... ...
'대한민국 인재산실'이라는 과기원 네 곳 청렴도는 '꼴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국민권익위는 4대 과기원을 포함해 전국 35개 국공립대학에 대한 청렴도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권익위 홈페이지 캡쳐 올해 국공립대 청렴도 조사에서 과학기술정보 ... 상승했다. 다만 대학 중 종합청렴도 1등급은 없었으며 서울대는 KAIST와 UNIST, GIST와 마찬
가지
로 5등급을 받았다. ... ...
드론·스마트시티 몰아주고 항공공학·건축공학은 빠져라?…유행에 빠진 BK21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및 핵심 학문분야의 연구 역량을 높이고 관련 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이다. 사업은 크게 두
가지
로 나뉜다. 전체 예산의 3분의 2는 ‘미래인재 양성사업’으로 나뉘며 과학기술(80%)과 인문사회 분야(20%)에 ‘교육연구단’ 및 ‘교육연구팀’을 지정해 투자한다. 총 185개의 교육연구단과 174개의 ... ...
음식알레르기치료제·부작용 없는 허리통증 치료기술…2020년 기대되는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경우 감염증 발생 위험이 40%가 낮아졌다. TYRX 제공 ‘2020년 기대되는 의학계 주요 혁신 10
가지
’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지금까지 치료방법이 없었던 난치질환에 대한 신약 개발이다. 몸속 단백질 중 하나인 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가 심장 내 비정상적으로 쌓이면서 손상을 일으키는 ... ...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하는 장내미생물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등 건강에 유익한 일을 하는 장내미생물들이 있다. 하지만 생활습관이나 환경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이 생태계가 깨지면 장내미생물의 조성이 달라지면서 다양한 질병을 일으킨다. 이 중 과도하고 지속적인 음주를 하는 사람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인 알코올성 지방간은 과거엔 과도한 ... ...
[과학게시판] 전기연구원, 꽃동네대학 친황경 ‘에코캠퍼스’ 구축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특별전이다. 한국이 직면했던 도전과제와 이를 극복하면서 이룩한 변화된 생활상을 7
가지
주제로 시대별로 풀어낸 게 특징이다.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24일 오전 7시부터 대전 대덕테크비즈센터 KIRD대전교육센터에서 ‘제13회 굿모닝사이언스 조찬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201 ... ...
빛 색깔과 편광 동시에 제어하는 소형 광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여러 색깔과 편광을 동시에 상호 제어하는 고효율 소형 광원은 하나의 요소만으로도 두
가지
물리량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활용분야가 다양하다. 반도체 양자선 구조는 물질의 조성이나 두께 변화를 통해 색을 조절할 수 있고 나노 수준의 편광 방향 조절도 가능해 효율적인 소형 광원으로 ... ...
표준硏, 중소기업 장비로 반도체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제시한 뒤 10여년의 연구 끝에 산화막 절대 두께 측정기술을 완성했다. 상호보정법은 2
가지
방법을 사용해 측정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재현성이 좋은 MEIS로 산화막 두께를 측정한 뒤 길이 단위의 소급성을 갖는 TEM의 측정 결과로 보정했다. 연구팀은 상호보정법의 정확도도 입증했다. ... ...
한국의 밥맛이 좋은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그중에서도 두 품종 사이에서 발현량이 크게 차이 나는 10
가지
를 골라 기능을 확인한 결과, 3
가지
비번역 RNA 생산량이 늘어나면 쌀알이 야생 벼처럼 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재배 과정에서 이 비번역 RNA의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통통하고 영양 많은 쌀이 늘어났다.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