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고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활발했다. 이번 2월호는 몸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커버스토리(특집)를 진행한 변지민 기자는 수중시체를 연구하고 수사를 훈련하는 장면을 취재하기 위해 한겨울의 호수로, 바다로 달려갔다. 맨 정신으로 견디기 힘든 사연을 듣고 참혹한 사진도 봐야 했다. 국내에 아직 체계적인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통해 “조선 노동당의 전략적 결심에 따라 6일 조선의 첫 수소탄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 발표 이전에 우리 정부와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는 북한 핵실험을 이미 알고 있었다.핵실험이 실시된 직후인 10시 30분 48초에 강원도 속초의 기상청 관측소에서 처음으로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주는 것 같다”고 추정했다.고양이 길들이기는 아직 진행 중?고양이 길들이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고양이는 개보다 인간과 함께 산 역사가 짧은 데다(개는 3만 년, 고양이는 9500년), 개나 다른 가축들과 달리 통 쓸모(?)가 없어서 의도적으로 교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위적인 선택압을 덜 받았다는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때보다 사진 속 표정을 더 밝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원인을 찾기위해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참가자들의 뇌파를 측정했더니, 행복한 음악을 듣거나 행복한 사진을 보면 대뇌피질의 왼쪽 전두측두(fronto-temporal)가, 우울한 음악을 듣거나 우울한 사진을 보면 오른쪽 전두측두가 반응했다.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모르는 사람들끼리만 시험 보려면?저르퍼시의 추측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알렉스 스콧 교수와 미국 프린스턴대 폴 세이머 교수가 30년 묵은 난제 ‘저르퍼시의 추측’을 풀었습니다. 저르퍼시의 추측은 1985년 헝가리의 수학자 언드라시 저르퍼시가 제기한 추측으로, 모르는 사람들끼리만 시험을 치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도심에도 꿀벌이 많이 살고 있단걸 알게 됐어요. 그래서 민욱이 형과 함께 서울 근교에서 진행한 꿀벌탐사가 의미 있다고 생각했죠. 저희 프로젝트의 결론이 ‘도심에 더 많은 꿀벌 정원을 만들어야 한다’니까요.2016년에 지구사랑탐사대가 되려는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고민욱 : ... ...
- [공지]전국 주요 과학관 무료 입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프로펠러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제자리에서 상승하고 저속으로 회전하면 하강을 한다.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프로펠러 회전 속도를 줄이면 기체가 그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이동을 한다.나도 얼마 전에 드론을 샀는데, 드론의 과학적 원리를 알게 되니 드론이 더 신기하고 멋지게 느껴진다 ... ...
- [News & Issue] ‘인기 짱’이 나서면 왕따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학교에서 손목밴드를 나눠주거나, 해시태그를 퍼뜨리는 등 몇 차례의 메시지 캠페인을 진행했다.1년 뒤 학생들 사이의 갈등은 30%나 줄어들었다. 특히 인기 있는 학생이 많이 속한 팀에서 이런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펠럭 교수는 “학생들의 사회적 규범을 변화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영향력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망·실종된 돌고래호(9.77t) 사고 조사에 투입됐다.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해 수중감식이 진행됐다. 돌고래호 자체가 거대한 증거물이었다.“배가 뒤집힌 채 떠 있는 상태였는데, 언제 가라앉을지 모르니 위험할 수밖에요.” 그의 팀은 돌고래호 안에서 위치발신장치인 브이패스(V-PASS)를 수거해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서로 다른 크기의 금속 분말을 섞어서 알맞은 화력과 연소 시간 등을 찾아내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금속 연료를 원하는 만큼 안정적으로 공급할 기술이 없다는 것도 상용화를 막는 걸림돌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운전할 때 언제든 시동을 켜고 끌 수 있고 원하는 속력을 낼 수 있는 건, 연료를 딱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