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독해력 향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인식된 것이다. 명시점에 들어온 글자는 선명하기 때문에 바로 식별이 가능하지만 여길
조금
만 벗어나도 선명도가 50% 이하로 떨어져 대략적인 형태만 파악된다.안구운동을 통해 쓰지 않던 눈 근육을 사용하는 훈련을 하면 명시점이 좀 더 확장될 수 있다는 주장이 최근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 ...
Part 3. "모든 문제를 식으로 바꾸어라"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않았지. 그 책에서 소개한 것처럼 다리를 들고 있는 상황을 가정할 수도 있겠지만 문제가
조금
만 달라져도 같은 방법을 쓸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이 때 미스터리 x님을 써보라고. 주어진 수가 크거나 문제가 복잡해도 가뿐히 풀 수 있어. 닭의 수를 x로, 토끼의 수를 y로 두는 거야. 닭과 토끼가 총 10 ... ...
1. 공간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놀라운 비법을 알려드릴 테니 따라와 보세요.비법의 핵심은 캔을 일렬로 세우지 말고
조금
씩 어긋나게 세우는 데 있어요. 캔 5개를 세우고 그 사이사이에 4개를 세우는 거죠. 또 그 사이에 5개. 이렇게 상자를 채우면 5개짜리 5줄과 4개짜리 4줄 총 41개(5×5+4×4)의 캔이 들어가요.캔 하나가 더 들어간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직접 셈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모든 것은 숫자 0 덕택이다. 오늘 이후, 숫자 0이
조금
은 새로워 보일 것이다.불편함을 해결한 인도인의 지혜인도인들이 ‘0’을 발견하게 된 계기는 자릿값 기수법의 필요성을 인식한 뒤부터다. 인도인들이 자릿값 기수법을 생각해 내는 데는 수를 읽는 방법이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적어도 내가 말한 그대로 생각해……. 둘 다 똑같은 거잖아."모자 장수가 말했다."그건
조금
도 똑같지 않지! 그건 '나는 내가 먹는 것을 본다' 와 '나는 내가 보는 것을 먹는다'가 같다는 말이나 마찬가지야!"앨리스가 또 곤욕을 치르고 있군요. 애매하게 말을 했다고 모자 장수가 논리적으로 따지고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한여름인데도 30℃ 가까이 된다. 생후 첫 주에는 32℃로 유지하기도 했다. 앞으로 온도를
조금
씩 더 낮출 예정이다.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면서 그만큼 외부 온도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2시간 이상 일하면 현기증지노와 지노2가 사는 인큐베이터가 있는 공간을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field) 빛인 소멸파가 있다. 문제는 소멸파의 세기가 거리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조금
만 떨어져도 사라진다는 것.실제로 근접장의 소멸파를 이용해 가시광선으로 파장의 절반 이하인 크기를 구분할 수 있는 광학기기에 대한 이론은 이미 1928년 나왔고 1982년 스위스의 물리학자 디에테르 폴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다행히 예상보다 많이 건강을 되찾은 모습이었다. 처음엔 말을 연속해서 이어가기가
조금
힘겨운 듯 보였지만 ‘인지과학’이라는 단어가 나오자 점점 활기가 되살아났다. 평생 몸담아온 연구 분야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 바로 그 때문일 게다.“내비게이션이 나오기 전에는 운전자 머릿속에 어디로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론의 전문가인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는 “트위터는 싸이월드나 마이스페이스보다
조금
더 개방적인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며“더 많은 정보가 더 빠르게 유통된다”고 지적했다.문장력에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140자 내외로 얘기를 주고받는 구조가 트위터의 폭발력을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있기 때문에 한 해 총 입학정원은 1020명이라고 볼 수 있다.평가방법은 각 전형마다
조금
씩 차이는 있지만 큰 틀에서 봤을 때 서류심사로 면접 대상자를 추린 뒤 심층면접으로 합격자를 가린다. 서류평가는 입학사정관이, 면접은 입학사정관과 면접위원으로 선정된 교수가 함께 평가한다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