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100휴검사(100-hue test)는 정상인이 구별가능한 공깃돌 모양의 85개 색패를 색깔 순서대로 배
열
하게 해 색각이상을 알아내는 방법으로,정확도가 높은 검사지만 검사나 결과분석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이를 간략하게 만든 이중 15휴검사(Double-15 hue test)는 15개의 색폐를 이용하기 때문에 ... ...
평양교예단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것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그 돌림힘은 어디서 생긴 것일까.이 기교의 비밀을 풀 중요한
열
쇠는 몸에 고정시킨 줄, 그리고 머리 위로 뻗었다가 허리로 모으는 팔의 움직임에 있다. 줄의 한끝은 연기자가 내려오는 곳보다 앞 공중에 고정돼 있고(공중고정점), 다른 한쪽은 연기자의 등허리에 매달아져 ... ...
해프닝으로 끝난 상온핵융합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1989년 3월 23일, 미국 유타대학의 스탠리 폰즈(사진 오른쪽)와 마틴 프라이슈만(왼쪽)은 상온핵융합 실험에 성공했음을 전세계 언론에 발표한다. ‘상온핵융합’의 ... '변두리' 취급을 받고 있다. 20세기 말 과학계에 격렬한 소동을 일으켰던 상온핵융합, 지금은 그
열
기마저 '식었다'(cold)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제대로 받지 못하는 사람은 얼마나 되나.미국은 의외로 다른나라에 비해 의료보험제도가
열
악한 형편이다.물론 극빈자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지원해주는 제도가 있다.문제는 중하층이다.매달 지불해야 하는 보험금이 월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계층이기 때문에 현재에도 의료보험에 가입할 ... ...
스타워즈 기술 암치료에 적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10년 전 스타워스 계획에 따라 개발한 기술을 링컨 대학의 전자기파 시스템 그룹의 앨런 펜 박사가 유방암 치료에 이용한 사실이 사이언스데일리지에 실렸다. ... 후 환자는 한두 개의 밴드만 붙이면 된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치료 며칠 후 약간의
열
이 발생할 뿐 부작용은 거의 없다 ... ...
아마존 정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아무런 준비 없이 아마존에 떨어진다면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다.동서남북을 구분하는 것에서 물을 먹고 불을 피우는 것 등 살아남기 위해 ... 있다. 동시에 이산화탄소의 배출량도 늘어나 지구온난화도 가속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열
대림의 파괴는 수많은 생물 종을 멸종시키기도 한다 ... ...
한국의 공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안짱다리로 뒤뚱뒤뚱 걸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러개의 발자국 보행
열
이 평행하게 나타나 이들이 무리를 지어 다녔다는 점도 알 수 있다.공룡알 -경기도 시화호에서 3백여개 산출-우리나라에서 공룡연구의 시작은 1972년 경북대학교의 양승영 교수가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수문동에서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과 먼지로 구성된 평균 지름 10km 정도인 땅콩처럼 생긴 핵이 있고, 핵의 표면에서 태양의
열
로 얼음과 먼지가 녹아 승화되면서 솜사탕처럼 핵을 둥글게 둘러싸고 있는 밝은 코마가 있다. 이 뒤로 태양 반대쪽으로 길게 뻗은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2종류의 꼬리가 있다.혜성의 꼬리가 푸른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aurulenta)가 51년만에 알에서 깨어난 기록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생존여건이 극심하게
열
악해졌을 때 일어나는, 생장활동의 일시 중단상태로 봐야하므로 가장 오래 산 기록에 해당하지는 않는다.이밖에도 극지방이나 산소가 부족한 유황온천, 심해 등 극한 상황에 적응한 곤충도 많다. 이 모든 것이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주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이런 대책은 궁여지책일 뿐 한계가 있다.장자는 “늪가의 꿩은
열
걸음에 한번 먹고 백걸음에 한모금 마신다. 구차하지만 풍부한 새장에 갇히기는 싫어한다”고 했다. 우리 안에 갇힌 불쌍한 동물을 위해 동물원은 없어져야 하는 걸까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