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거예요. 같은 간격으로 살짝 접어 준 뒤, 돌돌 말아 연결하면 다각형 모양의 거울 완성!만약 거울 역할을 하는 크리스탈 종이가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럴 땐 페나키스토스코프 바깥 기둥에 길쭉한 구멍을 뚫어요. 구멍과 구멍 사이의 종이가 거울의 모서리 역할을 하는 거예요. 이후 빨대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기의 마술카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번 자전하면서, 일 년에 한 번 태양 주위를 공전해요. 반면 달은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가 약 27.3일로 똑같아요. 즉, 달이 스스로 한 바퀴를 도는 데 걸리는 시간과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같은 거예요. 그래서 지구에서 는 항상 달의 한쪽 면만 보인답니다.이렇게 태양 주위를 도는 ...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결국 멸종위기에 처하고 말았답니다. 2009년부터 2011년 사이에만 약 50톤의 상아가 거래될 정도였어요. 친구들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동물들을 사랑해 주세요~!상아상아는 코끼리의 송곳니를 뜻하며, 영어로는 ‘아이보리(ivory)’라고 해요. 그래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렇게 발포정을 녹인 물을 마시면 탄산음료를 마시는 기분이 든다. 그래서 발포정으로 약을 만들면 먹기가 편하다. 물이 들어 있는 요구르트 병 로켓에 발포정을 넣으면 이산화탄소와 함께 섞인 물이 좁은 구멍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된다. 그 반작용으로 요구르트 병 로켓은 위로 솟구친다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날아가는 비행기의 뒤쪽으로 길게 이어집니다. 그래서 ‘와후류’라고 부릅니다.만약 비행기가 이륙한 뒤 곧바로 그 다음 비행기가 이륙하면 앞서 출발한 비행기가 만든 와후류가 남아 있다가 바로 뒤에 따라오는 비행기를 위협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비행기가 이륙하는 시간 간격인 ‘분리 간격 ... ...
- [재미] 마왕의 등장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정립한 리만 기하학이에요. 리만은 정말 위대한 수학자예요. 약 10년 동안 어마어마한 업적을 이뤘거든요!”“그렇군요. 저보다 더 훌륭한 수학자로군요….”“하하, 그렇지 않아요. 리만이 위대한 수학자인 건 맞지만, 유클리드 아저씨가 없었으면 리만 기하학도 없었을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구를 통해 일본 동쪽에 위치한 해구로부터 섭입하는 태평양판이 백두산 아래 심도 약 500~600km에 있는 상부맨틀과 하부맨틀의 전이대까지 깊숙이 들어가 만주 끝까지 뻗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들은 백두산 심부를 통과하는 지진파의 속도가 유난히 느리다는 사실에 착안해, 백두산 밑 상부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일어나는 축을 당시 유행하던 정치 용어에 빗대어 ‘악의 축’ 이라고 불렀다. 만약 이 가설대로 우주가 특정한 축을 기준으로 진화했다면, 한쪽 방향에서는 은하가 더 적게 생성되고 다른 방향으로 가면서 더 많은 은하들이 생성되는 방향성을 보여줬을 것이다. 우주 등방성 문제, 영원한 미제로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느낌을 주는 기술이다. 지난 9월 출시된 따끈따끈한 VR드론 ‘디스코’는 이런 기술의 집약체였다. 파리까지 왔는데 직접 날려보지 않을 수 없었다. “오 뜬다! 뜬다!” 본사 2층에 마련된 드론 시험장이 쩌렁쩌렁 울리도록 감탄사를 내질렀다. 패럿 글로벌마케팅이사인 세드릭 델마스가 준 헤드셋을 ... ...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관찰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드라마 ‘라이 투 미’의 천재 심리학자 칼 라이트만은 약 0.2초 동안 잠깐 드러나는 표정으로 용의자의 거짓말을 알아차립니다. 라이트만의 모델로 알려진 폴 에크먼 박사는 40여 년 동안 미세 표정을 연구한 이 분야의 대가입니다. 그는 사람의 표정을 만드는 근육을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