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물
유력자
d라이브러리
"
성공한 사람
"(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부활에 가려진 카오스 이론 쥬라기 공원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관심과 기대 속에 만들어졌고, 6천5백만년 전 사라진 중생대의 공룡들이 스크린 위에 고스란히 부활하자
사람
들은 열광하기 시작했다. 영화는 1백년 영화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
들이 본 영화로 기록됐고, 공룡을 다시 살려내는 일이 과연 가능한가에 대한 열띤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 뜻대로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장영실 하이젠베르크 호킹 등의 이름이 나왔다. 과학자 이외에서 가장 존경하는
사람
으로는 부모님이 제일 많았다. 존경하는 인물이 어머니와 퀴리부인을 빼곤 모두 ... 교수들의 출근 시간을 의식하는 듯 늦게 자도 일찍 일어난다고.과학동아를 읽어본
사람
은 1백명 응답자 중 83명이었다. 38명이 ... ...
자동차 안에서 PC통신 즐긴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통신' 하면 으레 전화를 연상했으나, 이제는 휴대폰(이동전화)과 삐삐를 허리춤에 찬
사람
을 거리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휴대폰 가입자는 현재 1백70만명으로 올해안으로 3백만명을 ... 따내기 위해 치열하게 경합중이다.TRS1대1 통화가 가능한 무전기나 워키토키를 개량, 여러
사람
이 한꺼번에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정성스러워 보이지 않은가‘라는 주장을 간혹 만나긴 하지만, 필자가 상대하는 대부분의
사람
들은 오히려 워드프로세서로 깔끔하게 편집한 문서를 더 반기는 편이다. 그래서 ... 그러나 워드가 모든 사용자들에게 잘맞고 쓰기 편할것이라는 얘기는 절대로 아니다.
사람
은 항상 제멋에 산다고, 잘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다양성과 복잡성은 다르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천재와 보통
사람
의 두뇌의 신경세포수도 차이가 없다고 보고 있다.우리가 흔히 '머리가 좋다' 고 이야기하는 것은 보통
사람
보다 학습을 통해 지식을 효율적으로 터득하고 오랫동안 학습내용을 ... 프랑스의 비네는 지능검사라는 형태로 지능을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른다'라는 속담이 ... 지능지수라는 것은
사람
들의 관심을 끌기에 ... 구별하기 위해 시작했다.
사람
들은 이 검사 결과를 ...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
의 능력을 감정적이고 ... 심리학자 스턴버그는
사람
들이 지능을 어떻게 ... 심리학을 배우지 않은
사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KAIST는 과학한국의 주역이 되기 위해 제 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주마가편이라던가. 잘 달리는 KAIST에게 더욱 갈 달리기를 바라면서 졸업생들이 가하는 채찍 ... 때늦은 감이 있지만 하루빨리 제2의 도약을 위한 진지한 검토와 계획이 KAIST와 KAIST를 아끼는
사람
들에 의해 이뤄지길 바란다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불가사의한 일도 그리 많지 않다.인간도 사회성 동물이기는 하지만 자식을 낳을 수 있는
사람
과 낳을 수 없는
사람
이 제도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다. 미국 미시간대 인류학자 벳직(Laura Betzig) 박사에 따르면 인류 역사에서 지배계급이 피지배계급보다 번식 성공도가 훨씬 높은 것이 사실이지만,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한 사장님이 있는가 하면 연구소에 남아 기술연구에 매진하는
사람
도 있다. 각계에 퍼져있는 KAIST맨들을 찾아봤다.(주)메디슨 ...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그러나 이것을 민간 사업으로 이끌
사람
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는 “내가 낳은 자식은 내가 책임져야 ... 예외적인 일이었습니다. 국내박사도 ... ...
겨울철 실내 스포츠의 꽃 농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지도자들의 말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결국 농구란 말할 수 없이 복잡 미묘한, ‘
사람
’이 하는 운동인 것이다. 요즘 등장한 카오스이론이나 복잡성과학을 농구에 적용한다면 보다 재미있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