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녹아 물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바나나 껍질에 있는 졸 상태의 과립처럼 물이 스키 바닥과 눈 사이의 마찰계수를 작게 만드는 역할을 하거든요. 바나나로도 물론 스키를 탈 수 있어요. 하지만 바나나는 스키와 달리 시간이 지나면서 과립이 점점 없어지기 때문에 오래 탈 수는 없지요.Q 바나나 껍질 ... ...
- 내가 직접 만드는 디지털카메라 ‘빅샷’으로 찰칵 찰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만나면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이 발라져 있어서 사진으로 인화할 수 있어요.우리 눈의 수정체와 망막처럼 카메라의 렌즈와 필름도 나란히 놓여 있어요. 우리가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장면은 렌즈로 모은 빛을 카메라 속 거울들(미러와 펜타프리즘)이 반사시켜 보여 주는 거예요. 셔터를 ... ...
- 근시 vs 원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눈에 들어온 빛이 한 방향이 아닌 여러 방향으로 꺾여 제대로 초점이 맺히지 않는 눈이에요. 각막에 상처가 있거나 표면이 고르지 않을 때 많이 생기지요. 마치 울퉁불퉁한 물체를 만난 빛이 여러 곳으로 꺾여 사방으로 반사되는 것처럼요. 사실 난시는 대부분의 사람이 갖고 있어요. 정도가 약해서 ... ...
- 전통과 디지털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따뜻하게 데운 뒤에 차를 따르면 차 본연의 향,맛, 색을 느낄 수 있답니다. 차를 마실 때 눈으로 색을 보고, 코로 향을 맡은 다음에 마셔 보세요. 차 맛이 훨씬 좋을 거예요. 전통 속에 디지털로 만든 전통 흥(興)이 있다고즈넉하고 아름다운 우리전통 문화가 첨단기술과 만나면 더욱 멋지게 ...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열대우림이나 깊은 바다처럼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나, 박테리아, 바이러스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 많아서란다.이렇게 생물 종이 많으니까 조금 사라져도 괜찮을 거라고 생각하면 안 돼! 이미 20분마다 한 종씩 멸종되고 있거든. 최근에는 멸종 속도가 자연적으로 멸종될 때와 비교해 ... ...
- 2014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전시회 꼭꼭 숨어라, 현미경이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우리 눈에 보이지도 않는 아주 작은 세상을 알고 있나요? 그 세상에는 사실 아주 많은 것이 담겨 있어요. 아름다운 꽃이 가득한 꽃밭도 있고, 짠 소금이 소복하게 쌓인 염전도 있어요. 낮에는 토인들이 신 나는 춤을 추고 밤에는 달이 두둥실 떠오르지요. 인공위성이 나는가 하면 어미새를 기다리는 ... ...
- 틀에 박힌 장난감은 바이바이! 내 맘대로 발명하는 4D프레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만든 재료는 대한민국 발명체험교구 ‘4D프레임’이에요. 빨대처럼 생긴 ‘연결봉’과 눈꽃처럼 생긴 ‘연결발’을 이어 원하는 모양을 만들지요. 연결봉은 원하는 길이만큼 가위로 자르거나, 두 개의 연결봉을 연결발로 이어 더 길게 만들 수 있어요. 부드럽게 휘어지는 연결봉을 이으면 둥근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물체를 자세히 보기 위해 머리 앞과 뒤에 모두 눈이 달려 있고, 심지어 손에도 눈이 달려 있어요. 게다가 두 팔을 등 뒤로 돌려 바닥으로 내리면 네 발로 걸을 수도 있답니다.힘도 세진 저는 스스로 판단해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쓰러져도 다치지 않도록 지금도 진화하고 있어요. 2015년 ... ...
- 귀뚜라미는 왜 수컷만 노래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수컷이 짝짓기할 때 부르는 유인노래는 크고 반복적이에요. 만약 여러분이 술래의 눈을 가리고 다른 사람을 잡는 ‘까막잡기’ 놀이를 한다고 생각해 봐요. 친구들이 박수를 한번만 치면 술래가 잡기 어려워요. 하지만 한 자리에서 반복적으로 박수를 크게 치면 술래는 친구들이 어디에 있는지 ... ...
- 눈부시게 잠 못 드는 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옛날에는 하늘에서 맨눈으로 수천 개의 별과 은하수를 볼 수 있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눈부신 조명 탓에 대도시에서는 은하수는 커녕 별도 몇 개 보이지 않지요. 빛공해가 우리에게 소중한 빛을 빼앗아버린 셈이에요.자연의 소중한 빛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우리 주변의 빛공해를 줄여야 해요.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