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d라이브러리
"
관찰
"(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있다면 어떨까. 이런 도형을 보는 사람은 당연히 이것이 정사각형인지 아닌지 계속
관찰
하게 된다. 심리학적으로 긴장하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을 따분하지 않게 할 직사각형을 만들 필요가 생겼고, 그리스 시대에 황금비에 가까운 직사각형이 생겼다.지 교수는 “가로로 길든 세로로 길든 황금비에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빠지지 않기 위해 신중한 자세가 중요하지만, 확실한 경험 자료가 부족하다고 일관되게
관찰
되는 현상들을 가벼이 보는 것도 좋지는 않다. 물론 과학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패러데이는 이 과정에서 전자기 유도 현상을 발견했다.패러데이는 자신의 실험에서
관찰
한 다양한 전자기 현상을 역선이 펼쳐진 공간이라는 의미의 ‘장’(場, field)이라는 개념을 써서 설명했다. 그러나 패러데이는 대학 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의 이론을 수학적으로 제시하지 ... ...
한반도 최초의 생명체 간직한 분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거칠면서도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이 대리석을 밟고 올라가 석회암을 가까이서
관찰
하면 일반적인 석회암과는 달리 표면에 물결 모양의 얇은 띠가 겹겹이 층을 이루고 있는 퇴적 구조를 볼 수 있다. 바로 여기에 한반도 최초의 생명체의 비밀이 숨어 있다.마치 나뭇잎이 촘촘히 쌓인 것과 같은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5시간, 양초는 모두 열 번을 움직이게 된다. 정답은 3번 네 번째 문제의 답이번 문제 역시
관찰
력에 관한 문제다. 사람과 그림자의 특징을 잘 살펴보자. 5번 사람의 그림자가 없다. 달아난 여섯 명의 과학자썰렁 홈즈와‘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의 맹활약으로 검은 조직‘까마케롬다만드러’의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좌측 측두엽에 많은 정보를 주는 우측 내이는 클릭음에 각각 더 크게 반응하는 것을
관찰
했다.순음은 한 가지 주파수만 갖는 소리로 악기소리가 이에 해당한다. 클릭음은 각종 주파수의 순음들이 여러 개 섞여 있는 복합음으로 대표적인 예가 말소리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음악과 언어에 대한 정보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얻은 항혈청이 붉은털원숭이뿐만 아니라 사람의 적혈구와도 응집을 일으키는 것을
관찰
했고 응집이 일어나는 것을 Rh양성(Rh+), 응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Rh음성(Rh-)이라고 했다 바이러스 RNA의 복제(複製)에 관여하는 효소 RNA바이러스는 유전자 본체로서 RNA를 입자내에 내포한다 이 RNA분자가 ... ...
북한 핵실험 어떻게 이뤄질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KH-12는 위성사진을 촬영해 폭발 여부를 탐지한다. 하지만 갱도를 구조물로 가려놓으면
관찰
할 수 없다. 그리고 RC-135 정찰기가 각종 탐지 장비를 장착하고 핵실험에서 생기는 방사성 가스를 검출한다. 지상으로 유출된 방사능은 전국 30여 곳에 설치된 무인 방사능 측정기로 감지할 수 있다.지진파를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하비의 연구가 등장하기 전에 의사들은 갈레노스가 세운 의학체계를 배웠고 그의 이론으로 사람의 몸을 설명했다. 갈레노스는 몸의 작용을 소화, 호 ... 등 많은 생물을 해부했다. 그는 이들이 살아있을 때 절개해서 심장의 수축과 맥박을
관찰
했고, 이로부터 ‘피의 순환 이론’을 주창했다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바로 나노와 생물학의 만남이랍니다. 박사님이 그 동안 갈고 닦아온 나노기술로 세포를
관찰
하고 분석하는 일에 도전하신 거예요. 이것이 바로 나노바이오측정제어기술이랍니다.박사님은 나노바이오측정제어기술이야 말로 전세계에서 아무도 하지 않은 새로운 기술이고 너무 재밌는 일이라며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